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대 장군의 변천과 사용

이용수 291

영문명
The Transition and Use of Pottery Barrel-shaped Vessel in Ancient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신나현(Shin, Na Hyeo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05호, 229~25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도기장군은 그동안 시대별로 도기를 집성·연구하는 과정에 포함되거나 중·근세 자료에 한정되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다보니 장군의 원형인 고대 도기장군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남한지역 출토 고대 도기장군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시기나 국가·지역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형식분류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고대 도기장군의 변천은 3단계로 구분되었다. Ⅰ단계는 도입기로, 4세기 중후엽부터 5세기 중엽까지로 편년된다. 제작 과정이 복잡한 A형(양측면 둥근형)의 도기장군이 가장 먼저 확인된다. 그 다음 양측면이 대칭을 이루는 A형 도기장군의 특징을 따르되, 제작 과정을 단순화시킨 B형(양측면 편평형)의 도기장군이 등장한다. Ⅱ단계는 성행기로, 5세기 후엽부터 8세기 전엽까지로 편년된다. A형과 B형이 이어지면서 양측면이 대칭을 이루는 특징을 따르지 않고 제작 과정을 단순화시킨 C형(한측면 편평형)의 도기장군이 제작·사용되어 다양한 형태의 도기장군이 공존하게 된다. Ⅲ단계는 쇠퇴기로, 8세기 중엽부터 조선시대 이전까지로 편년된다. 더 이상 A형의 도기장군이 나타나지 않으며 C형의 도기장군만 제작·사용된다. 그리고 국가별로 도기장군의 형태가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제 권역에서는 주로 견부와 저부가 원저단경호의 저부와 같이 둥글고동최대경에 비해 경경(脛徑)이 좁은 형태의 도기장군이, 신라·가야 권역에서는 견부와 저부가 원통형을 눕힌 것 같이 직선을 그리고 동최대경에 비해 경경이 넓은 형태의 도기장군이 제작·사용되었다. 한편, 백제에서는 장군의 기원으로 볼 수 있는 견형호(茧形壶)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특별한 액체를 저장·운반하는 목적으로 도기장군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신라에서는부장하는 음식을 담는 용기, 즉 제기로 사용된 듯하다.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서는 고신라의 도기장군과 다르게 일상생활에서 액체를 저장·운반하는 목적으로 도기장군이 사용되었으 며, 크기가 다양해지면서 특별한 액체가 아닌 소변과 장과 같은 다른 액체도 담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ottery barrel-shaped vessel has been involv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studying pottery or limited to data from the middle and the modern age. As a result, very little has been done to study the pottery barrel-shaped vessel of ancient, the origin of other materials and age. Thus, the pottery barrel-shaped vessel in ancient was designated as a research target and attempted to classify the types to identify the timing, national and regional differences. As a result, the transition of the pottery barrel-shaped vessel of ancient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Stage I is an introduction, and the A-type(both sides rounded) is the first to be identified. Then, followed by the B-type(both sides flattened) that simplified the manufacturing process. Stage II is a prevalence, with the A-type and B-type, and the C-type(one-side flattened) being produced and used without conforming to the symmetrical characteristics of both sides, thereby co-existing various types of pottery. Stage Ⅲ is a decline, no more the A-type and only the C-type is produced and used. And we could see that the formats were divided by country and region. In the Baekje region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 rounded shoulder and base, narrow-necked pottery barrel-shaped vessel was created and used. On the other hand, Silla and Gaya region, a flattened sholer and base, broad-necked pottery barrel-shaped vessel was created and used. Meanwhile, in Baekje, a pottery general was used for the purpose of storing and transporting liquids in daily life, such as the Gyeonhyeongho, which can be seen as the origin. while Silla used the container for burial food as sacrificial rit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 pottery general was used for the purpose of storing and transporting liquids in daily life, unlike the ancient Silla, and with varying sizes, it was used to contain other fluids such as urine and intestines, not special liquids.

목차

Ⅰ. 머리말
Ⅱ. 제작기법 검토
Ⅲ. 시기와 국가·지역별 분포 양상
Ⅳ. 기원과 사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나현(Shin, Na Hyeon). (2019).고대 장군의 변천과 사용. 한국상고사학보, (105), 229-258

MLA

신나현(Shin, Na Hyeon). "고대 장군의 변천과 사용." 한국상고사학보, .105(2019): 229-2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