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양 안학궁, 대성산성 시기 왕궁 주변 고구려 고분의 고고학적 함의

이용수 639

영문명
An archaeological implication of Koguryeo Tombs around the Pyeongyang capital - Anhak palace-Daesung fortress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강현숙(Kang Hyunsook)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05호, 123~14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왕궁과 대형분이 보여주는 도성의 경관이라는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고구려 왕도였던 안학궁과 대성산성 일대의 고분을 검토하였다. 지리 조건에 따라 안학궁,대성산성 일대 고분군은 대성산 고분구역과 광대산 고분구역으로 나뉘며, 대성산 고분구역은 안학궁을 기준으로 서편과 동편 고분군으로 세분되어서 고분군별로 고분의 구조와 축조방식, 주검안치 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고분은 동분이혈합장 무덤도 있지만, 대다수는 동분동혈합장 무덤이며 석실 평면은 방형 현실과 중앙연도, 장방형 현실과 우편재연도 순으로, 천장은 평행삼각고임이 선호되었다. 그리고 뉘어쌓기와 회미장, 목관 안치 등 축조와 마감처리, 그리고 주검안치와 매장방식에서의 정형성이 확인되었다. 이를 기초로 대형분의 특징과 시공적 추이를 살폈다. 안학궁,대성산성 일대에 대형분이 등장하는 4세기 중엽부터 대형분의 조영이 끝난 6세기 전반까지 기간 중의 대형분은 서평양보다 통구분지의 대형분과 평면구조와 축조방식 등의 특징을 공유한다. 대형분의 시공적 추이는 벽화와 출토 유물, 석실 구조의 변화와 분구와 석실의 규모를 기준으로 한 위계별 추이를 살핀 결과, 대형분은 4세기 중엽 이후 안학궁 서편의 고산동 일대에서 먼저 등장하여 5세기대까지 고산동일대가 대형분의 중심지가 되나 5세기 말을 지나면서 대형분의 중심은 안학동, 로산동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6세기에 들어서면서 광대산 고분구역이 대형분의 중심지로서 토포리, 호남리 고분군이 최상위 고분군이 되었다. 6세기를 경과하면서 광대산 고분구역이 대성산 고분구역을 대체하여 대형분의 중심지가되고, 대형분 간의 안정적 위계분화를 보이는 것을 광대산 고분구역이 평양 이도 후 국내세력의 이주에 따라 새로 형성된 묘역의 결과로 해석하였다. 평양으로 이주한 국내 세력이 압록강과 평지, 우산이 그리는 국내도성 경관과 유사한 지형조건을 가진 광대산 일대를 묘역으로 선정함으로써 안학궁·대성산성 시기의 도성 경관은 국내성과 대형분이 그리는 국내도성의 경관과 유사하였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s of this paper are infer the archaelolgical meaning of tombs around the Pyeongyang capital-Anhak palace and Daesungsan fortress, on the point of landscape of the capital. The thesis goes through as follows. Dividing the tombs into the Daesungsan tomb area and the Gwangdaesan tomb area by terrain, it is examined the whole process of building the tombs. And on the base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e tombs, it infered the archaeological meaning of the tombs around the Pyeongyang capital-Anhak palace and Daesungsan fortress. As a result of examination, it shows that there are some patterns of the structure and burying activity which was composed one chamber, wooden coffin and burying together in one chamber. Furthermore it suggested that there are four hierarchial groups of the large tombs and it turns out that there was a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the large tombs according to the space-time trend of the large tomb. Therefore after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the large tombs appeared in the Gosan-dong area on the west side of the palace Ahnhak, and the Gosan-dong area became the center of the large tombs until the 5th century. By the 6th century, the Gwangdaesan tombs area became the center of the large tombs instead of Daesungsan Tombs area and the Topoly and Honamli Tumulus became the highest tombs. In conclusion, after the 6th century it explained that the tombs around the Gwangdaesan area were built by the newly influenced central elites after the reign of Pyongyang from capital Guknae. The central elites that inflowed of Pyongyang built their tombs around the similar scenery of capital Guknae. This is what the tombs around the Pyeongyang capital- Ahak palace and Daesung fortress suggests.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분 검토
Ⅲ. 대형분의 시공적 추이와 그 함의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현숙(Kang Hyunsook). (2019).평양 안학궁, 대성산성 시기 왕궁 주변 고구려 고분의 고고학적 함의. 한국상고사학보, (105), 123-147

MLA

강현숙(Kang Hyunsook). "평양 안학궁, 대성산성 시기 왕궁 주변 고구려 고분의 고고학적 함의." 한국상고사학보, .105(2019): 123-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