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석묘사회의 네트워크 구조와 성격 검토 - GIS와 SNA를 이용한 영산강중류역과 여수반도의 비교 -

이용수 817

영문명
A Study on the Network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Dolmen Society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강동석(Kang, Dongseok)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05호, 5~4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동기시대 사회복합화의 진전은 정치경제의 기반이 되는 잉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수장층의 정치권력 확대전략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런데 잉여의 수집과 관리가 취락 간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취락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이 사회복합화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영산강중류역과 여수 반도 지석묘사회를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두 지석묘사회의 취락체계는 계층적 구조를 형성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최상위 중심취락은 취락 간 네트워크 조직 내에서 자원과 정보를 통제할 수 있는 권력을 가지고 하위취락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공간적 우위를 점하고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공간상의 차별적 지위는 취락 간 계층관계 형성과 사회복합도 진전의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가설을 전제로 네트워크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산강중류역 지석묘사회의 최상위 중심취락은 네트워크상에서 자원·정보 확보에 유리한 근접중심성과 변화에 따른 효과를 크게 거둘 수 있는 위세중심성, 중개자 역할을 보여 주는 매개중심성이 높은 구역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것은 최상위중심지가 지역네트워크상에서 잉여나 정보의 흐름을 효과 적으로 통제하고,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공간적 지위를 지니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를 근거로, 영산강중류역에서는 네트워크 조직 내의 공간적 우위성이 계층적 취락구조의 형성과 사회복합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여수반도에서는 네트워크 중심성이 낮은 구역에 최상위 중심취락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각 중심취락을 핵으로 하는 국지적 단위들이 연계된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단위지역의 지석묘사회가 각기 다른 네트워크 구조를 이루고 있었고, 이에 따른 사회복합화 양상도 달랐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농업잉여를 기반으로 하는 영산 강중류역 수장사회는 네트워크상의 공간적 우위가 취락 간 계층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특징을 지니고 있었으며, 집단지향적 성향의 사회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교역시 스템이 운용되었던 여수반도 지석묘사회는 국지적 단위가 독립적으로 연계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개인지향적 성향의 사회로 상정된다.

영문 초록

The discussion on the reorganization of economy system and the progress of social complexity due to the rice agriculture in Bronze Age has been dealt as the political power expansion strategy of the chief to secure surpluses. In this article, the effect of the spatial status of regional networks on the progress of social complexit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ollection and the management of surplus are done by the interaction among settlements was explained. It was reviewed on a dolmen society in the mid-riparian area of Yeongsan River and the Yeosu peninsula, where the stratification in the regional level was discussed. Social network analysis, which is actively used in recent archaeology to visualize the centrality, the power and the influence in the network objectively, was applied.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highest class of the central settlement of the dolmen society in the mid-riparian area of Yeongsan River was distributed where closeness centrality which is advantageous on securing resources, information and the power, eigenvector centrality which can be influential on changes and betweenness centrality are high. This means that the highest central place can control the surplus, distribution and the information effectively in regional networks and has the spatial status which can show the power and the influence. Based on this, the spatial superiority in the network had an effect on the hierarchical settlement structure forming and the social complexity progress in the dolmen society in the mid-riparian area of Yeongsan River.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class of the central settlement in the Yeosu peninsula is distributed in areas where the network centrality is low. Regarding the central settlement as a point, local units constitutes the independent structure, this can be explained as rather the local interaction than the regional networks became the background of the social complexity in the dolmen society in the Yeosu peninsula.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each of regional settlements in the dolmen society formed network structures and it influenced differently in the progress of social complexity of each settlement. That is, in the chiefdom based on the agricultural surplus, like that in the mid-riparian area of Yeongsan River, the interaction network in a regional level was ran and the complexity seemed progressed by controlling of the surplus using the spatial power in the network and the expansion of the group-oriented political power. Whereas, local units which have central settlements as cores form networking systems which links independently in societies which ran the trade system like those in the Yeosu peninsula,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 individual-oriented social struc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사회 네트워크 분석(SNA) 방법론
Ⅲ. 지석묘사회의 네트워크 중심성 평가
Ⅳ. 네트워크 구조와 지석묘사회의 성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동석(Kang, Dongseok). (2019).지석묘사회의 네트워크 구조와 성격 검토 - GIS와 SNA를 이용한 영산강중류역과 여수반도의 비교 -. 한국상고사학보, (105), 5-43

MLA

강동석(Kang, Dongseok). "지석묘사회의 네트워크 구조와 성격 검토 - GIS와 SNA를 이용한 영산강중류역과 여수반도의 비교 -." 한국상고사학보, .105(2019): 5-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