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안학교 관련 법제 정비방안 연구

이용수 46

영문명
A study of Law and Legislation on Alternative Schools
발행기관
대한교육법학회
저자명
황준성(Jun Seong Hwang) 이혜영(Hye Young Lee)
간행물 정보
『1. 교육법학연구』제22권 제1호, 169~19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대안학교 관련 법제의 정비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안학교의 개념을 살펴본 후 현행 교육법 체제 내에 수용되어 있는 대안학교들을 유형화하였으며, 이들의 실질적인 법적 지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관련 법제의 정비 필요성 및 정비의 기본 방향을 도출한 후, 관련 법제의 개선방안을 대안학교 유형별로 제시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대안학교의 개념에 있어서 특정 가치를 배제한 중립적 관점을 채택했으며, 그 유형으로 법제의 태도에 따라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각종학교로서 대안 학교, 비인가 대안학교로 구분하였다. 법제 정비 필요성으로는 대안학교에 대한 새로운 요구의 수용, 국가·사회의 지원의 필요성, 불안한 법적 지위를 지적하였으며, 정비의 기본 방향으로 교육기본권에의 기속성이라는 전제 아래에 자율성과 공공성의 조화, 지원과 조성의 법제로의 정착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는 특성화 학교를 새로운 학교 종류로 법률화함에 의한 대안교육 특성화학교의 법적 지위 강화, 비인가 대안학교의 각종학교로서 적극적 수용을 위한 법제 정비, 비인가 대안학교의 불법적인 지위를 해소할 수 있는 법령 마련 등의 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aw and legislation on Alternative Schools considering its high necessity in Korea.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n the issue, Three points of view on implication are suggested. One is to discuss the concept of alternative schools. In the light of the suggested concept, secondly, this paper categorizes alternative schools that are in the Korean legislative system and analyzes their practical status in terms of legislation. Finally, the study suggests a legislative improvement on alternative schooling with concrete ideas in types of the schools. First of all, while avoiding the meaning of `alternative` captured in certain ideology, the research widens the concept of alternative education to `a school providing various programs, activities, and facilities through specialized methods for certain educational ideas which pursues new learning experiences distinguished from typical public education.` It also categorizes the schools into specialized, alternative as Miscellaneous School,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by current Korea legislative attitude. Furthermore, the necessity of legislative improvement is related to three aspects, which are a response on high desire for alternative schools currently, requirements for practical supports in governmental and social levels, and the unstable legislative status of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Ideas for the actions on law and legislation is supported by autonomy and public harmony in the name of educational fundamental rights. This study suggests concrete ideas to intensify the legislative status of specialized alternative schools by legislating them in types, to consider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by law and legislation on alternative education as Miscellaneous School, and to solve the unstability of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by legisl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준성(Jun Seong Hwang),이혜영(Hye Young Lee). (2010).대안학교 관련 법제 정비방안 연구. 1. 교육법학연구, 22 (1), 169-197

MLA

황준성(Jun Seong Hwang),이혜영(Hye Young Lee). "대안학교 관련 법제 정비방안 연구." 1. 교육법학연구, 22.1(2010): 169-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