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장형 단어형성요소의 형성과 특성 :용언 어간과 종결어미 결합형을 대상으로

이용수 51

영문명
The origin and features of sentence-type world-formation element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오민석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48집, 239~26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장이란 형식적 완결성과 내용적 완결성을 전제로 이루어진다. 본고에서는 문장 형식의 완전성 여부에 따라 ‘완전문’과 ‘불완전문’을 나누고, 다시 ‘불완전문’을 온전한 형식으로의 복원가능 여부에 따라 ‘불완전형식문’과 ‘소형발화’로 나누었다. 그리고 다시 ‘불완전형식문’을 의미의 관용적인 쓰임 여부에 따라 ‘생략문I’과 ‘생략문II’로 나누었다. 본고에서는 이 중 ‘불완전형식문’의 단어형성요소화 과정을 살펴보고, 이 단위가 참여하는 합성명사 유형이 의미있는 단어 형성법임을 확인했다. 본고에서는 ‘불완전형식문’이 독립적인 쓰임을 보이기보다는, 온전한 문장 형식으로의 복원 과정에서 단어 내적으로, 외적으로 관계맺는 명사를 고려하면서 합성명사 구성요소로서 단어형성요소로서의 길을 밟은 것으로 보았다. 다만 ‘불완전형식문’ 중 단어 내적 정보를 이용하여 복원할 수 있는 ‘생략문I’은 후행명사와의 관계가 명시적이지만, 단어 외적 정보를 이용하여야 복원할 수 있는 ‘생략문II’는 후행명사와의 관계가 비명시적이라는 점에서 관용적으로 쓰일 가능성이 보다 큰 듯하다. 이것이 ‘신기료’, ‘카더라’ 등의 ‘생략문II’가 ‘떴다’, ‘묻지마’ 등의 ‘생략문’보다는 단어화 경향이 강한 배경이 된다. 지금까지 ‘신기료장수’, ‘카더라통신’, ‘떴다방’, ‘묻지마폭행’등의 합성명사들이 의미있는 단어 형성법으로 유형화되지 못했던 것은, 신개념에 대한 명명 기능이 일회적인 것으로 인식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합성명사의 선행성분으로 자리한 ‘신기료’, ‘카더라’, ‘떴다’, ‘묻지마’등 ‘불완전형식문’이 의미의 추상화 과정을 거치면서, 해당성분이 관계하는 합성명사의 집합도 커진다는 것은 새로운 유형의 합성명사들이 일회적이고 단발적이지 않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search novel Korean Compound Nouns and then to define them a novel Korean Noun-compounding type. Previous studies on Korean Compound Nouns haven t take account of following forms; singiryo-jangsu(신기료장수), kadeora-tongsin(카더라통신), ddeossda-bang(떴다방), mudjima-poghaeng(묻지마폭행) as meaningful results of Noun- compounding. Two reasons could be submitted for explanation. First reason is that Korean-endings have not been considered as meaningful word-formation elements so far. Second is that the above forms are treated as temporary words. But novel Korean Compound Nouns have originated from sentence, not from combination of verb and ending, Those forms, which follow, can surely be considered to originate from sentence; -eoss-(-었-), -eun-(-은-) in ddeossda- bang(떴다방), anda-bagsu(안다박수), argument like sin(신) of gib-(깁-) and exclamation like ya(야) from yata-jok(야타족). Futhermore, though they were temporary words at first, they have soon obtained an acknowledgement as meaningful word-formation elements after abstracting second meaning from lexical meaning. The parts are the elements such as singiryo(신기료), kadeora(카더라), ddeossda(떴다), mudjima(묻지마) and ets. They have even bigger Compound Noun set after abstracting process. It means that novel Korean Compound Nouns are not one-time or temporary, but meaningful compoundings. Now we call them sentence-type word-formation elements .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문장의 단어형성요소화 가능성
Ⅲ. 문장형 단어형성요소의 형성
Ⅳ. 문장형 단어형성요소의 일상성
Ⅴ.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민석. (2011).문장형 단어형성요소의 형성과 특성 :용언 어간과 종결어미 결합형을 대상으로. 민족문화논총, 48 , 239-264

MLA

오민석. "문장형 단어형성요소의 형성과 특성 :용언 어간과 종결어미 결합형을 대상으로." 민족문화논총, 48.(2011): 239-2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