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오직 믿음으로 (sola fide) ― 칭의론에 대한 논쟁과 성서적 해석; 루터에서 오늘까지
이용수 178
- 영문명
- Sola Fide: The Debate and Biblical Interpretation of a Justification by Faith; from Luther to Today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송순열(Soon-Yeol Song)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82집(2018년 가을호), 141~16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세분화된 주제에 대한 심오한 탐구는 아니다. 종교 개혁 500주년을 기념하여 2017년에 국내에서 발간된 많은 글들과 학술 대회 에서 논의된 주제들 가운데 성서신학적인 논술이 의외로 많지 않아, ‘오직 믿음’으로 대변되는 칭의론의 문제를 일반적으로 다루고 문제점들만 나열하였다.
글의 첫 부분은 칭의론에 대한 연구사를 요약하였는데, 소위 ‘새 관점’으로 불리는 관점을 중점적으로 소개했고 한국 학자들의 관점도 덧붙 였다. 이어서 갈 2:11-21; 롬 3:21-4:25을 기본으로 하여 이방인 선교를 위한 칭의론의 콘텍스트, 유대 종교에 대한 바울의 관점, ‘디카이오스’ 의 용어적 문제, 칭의론의 주체, ‘피스티스 크리스투’, 그리고 하박국서 2 장 4절에 대한 적절한 해석의 문제를 개괄적으로 다루고 문제점을 제시 했다. 글의 성격상 결론은 새로운 대안이나 제시를 하지 않고 기존에 있는 기독교 신학의 전통들이 새로운 성서 해석과 주석을 근거로 새롭게 정리되고 이해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는 것으로 그쳤다. 여기에 제기된 세분화된 문제들에 대한 학자들의 좋은 논문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e year 2017, all the churches observed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publication of Martin Luther’s Ninety-Five Theses in Wittenberg and numerous scholars have published to commemorate this event. Among them, it is difficult to find publications regarding protestant reformers’ assertions of the prime authority of Scripture and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sola fide) . This article reviews the historical research of the idea of justification by faith and suggests new hermeneutical principles based on the exegesis of Gal. 2:11-21 and Rom.
3:21-4:15. First, through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passages’ context, the main purpose of passages on justification was to solve the problem between Jews and Gentiles. Second, Paul’s view of Judaism differed completely from the reformer’s concept (anti-torah) . Third, Paul’s apocalyptic language vis a vis “the righteousness of God” refers to the apostolic ministry and God’s own faithfulness to the new covenant in providing salvation through Christ whether the “righteousness of God” is objective or subjective. It also connects to pistis christou. Fourth, the context of Habbakuk 2:4 should not be understood as the belief of a righteous person but as faithfulness to the laws. As a result,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reformers’ assertions of sola fide should be reconsidered based on proper biblical exegesi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루터 이후의 칭의론 논쟁(새 관점을 중심으로)
Ⅲ. 칭의론에 관련된 성서 주석: 갈 2:11-21; 롬 3:21-4:25
Ⅳ.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마가복음 결말의 ‘세 여자 이야기’와 여자 제자 집단 ― 마가복음 15:40-16:4과 사복음서 비교
- 토마스 머튼의 관상과 행동 ― “행동 세계 속에서의 관상”을 중심으로
- 흰돌 강희남 목사의 민중 통일론
- 삼위일체 예배에서 실행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관계성 ― 삼위일체 페리코레시스와 음양 상징의 공동체적 관계에 관한 상호 비교 연구
- 백부장의 πίστις : Q복음서의 가버나움 백부장에 관한 연구
- 융의 사위일체 신정론: “넷째는 어디에 있는가”
- 예수의 비유에 나타난 개성화의 동기 ―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 관점에서
-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의 요체와 평가
- 예수 찬양 댄스 교육을 통한 기독교 문화 예술 활성화 효과
- 요안네스 카시아누스 (Ioannes Cassianus, ca.360-ca.435) 의수도 문헌에 나타난 인간, 부 (Divitia) , 그리고 탐욕 (Avaritia) 이해
- “희망: 시작의 힘 ― 인내의 힘”
- 통일 과정에서 평화 기도회에 관한 연구 ― 독일 라이프치히 성 니콜라이 교회와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의 평화 기도회를 중심으로
- 요셉 이야기(창 37:18-36) 다시 보기 ― 창세기 37:28의 번역을 중심으로
- 나중에 온 사람들에게도 ― 마태복음 20:1-16
- 로날드 바이어스의 『성서적 관점에서 바라본 성례전』
- 오직 믿음으로 (sola fide) ― 칭의론에 대한 논쟁과 성서적 해석; 루터에서 오늘까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학교 적응이 어려운 초등학교 6학년 남아의 인지 행동 놀이치료 사례연구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문제해결력(PSI), ‘양떼를 지켜라’ 문제 해결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애착 트라우마 상담 사례연구: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EMDR)와 내면가족체계(IFS) 치료의 통합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MZ 세대의 사회적·신앙적 위기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과 회복탄력성
- 규암 김약연과 북간도의 마을교육공동체 - 명동학교와 명동마을을 중심으로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