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수 찬양 댄스 교육을 통한 기독교 문화 예술 활성화 효과
이용수 76
- 영문명
- The Effect of Activating Christian Culture & Art through Dance Education of Jesus Praise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조규청(Kyu-Chung Cho)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82집(2018년 가을호), 353~37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예수 그리스도를 기쁘시게 해드리는 것이 찬양이 라는 것을 밝히려고 하는 것이다. 그 수단 중의 하나로서, 움직임 하나하 나에 의미가 내포된 “예수 찬양 댄스”를 실천함으로써 생활 가운데 연계 되어 추구되는 현장 교육의 한 모델이 됨과 동시에 기독교 문화 예술 발전에도 기여하고자 하였다. 기독교의 양적 증대와 문화 예술 분야의 질적인 성장에 필수불가결한 예수 찬양 활동을 통하여 여호와의 위상을 드높이는 데에 정통 맥락을 부여한, 예수 찬양 댄스의 이론적 지식 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에 필자가 개발하여 발표한 연구 이론들을 중심으로 예수 찬양 댄스에 대한 기독교 문화 예술 독창성에 의한 분석들을 기초로 하여 더 구체적이고도 심층적인 행태로 표출하였 다.
기독교 문화 예술에 있어서 예수 찬양 댄스 교육의 전문성, 맥락적 표준성, 교육자의 자질, 치유적 요소,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등의 측면에서 예수 찬양 댄스 교육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예수 찬양 댄스 교육’을 통한 기독교 문화 예술 활성화의 전략 및 효과는 교육적 훈련및 세미나, 상호 협력 기관 양성화, 교회 내에서의 활성화 효과 등으로 발표하였다. 또한 교회 밖에서의 활성화 효과, 지도자 모임 및 운영 방안, 선교 활성화 등을 현실적이고도 구체적으로 분석·기술하였다.
국내 기독교 문화 활성화의 선결 과제에 있어서 주요 요소인 “예수 찬양 부흥”이라는 사회적 책임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하 면서 이 연구에 임한 결과 예수 찬양 댄스 교육은 기독교 문화와 예술의 실현이며 밝은 미래 지표로 자리 잡아야 할 것이다. 살아계셔서 역사하 시는 주님의 사상들을 전하기 위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에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다양한 방법을 총동원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이에 생명의 근원이요, 이 땅의 주권자이신 예수님의 뜻과 사랑이 삶의 여러 측면에서, 우리 믿는 성도들의 마음속에 자리매김함은 물론 깊은 감동의 물결과 충만하신 은혜로 그분을 중심으로 살아가는 하나의 지표가 되어 더욱 진한 감동으로, 불신자들에게는 전도의 통로로 연계되어 지기를 희망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ur appreciation of Christian culture and art through the model of spiritual education by exploring “Jesus Praise Dance” which has meaning and context as part of the praise that pleases Jesus, the greatest educator and absolute. This study point to a way to overcome declining belief which has afflicted the church due to the lack of Christian culture and art. It suggeststhe necessity of a theoretical knowledge system based on the meaning of ideal Jesus praise dance education.
In this study, both of the previously published research theories are described by a more in - depth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novelty previously published by the researcher. We analyzed the education of Jesus Praise Dance in terms of professionalism, contextual standard, educator’s qualities, healing ability, and global communication. We also discuss the strategy and effect of Christian cultural arts through “dance education of Jesus Praise” developed in seminars on education and through training of mutual cooperation organizations. This paper will explore the results of such a practice on the church and on communities outside the church, on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leaders and on mission.
It is hoped that insights drawn from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revival of the culture of praise that has been missing in Korean culture. Jesus Praise Dance Education is now a realization of Christian culture and art and an indicator of a bright future. We must consider various means to please God in this land we live in. So, I hope that the will and love of Jesus, the Sovereign, will be transmitted to this earth in various aspects of life. Finally, I want to express my gratitude to the Lord who lives and work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예수 찬양 댄스 교육 분석
Ⅲ. 예수 찬양 댄스 교육을 통한 기독교 문화 예술 활성화 전략 및 효과
Ⅳ. 나가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마가복음 결말의 ‘세 여자 이야기’와 여자 제자 집단 ― 마가복음 15:40-16:4과 사복음서 비교
- 토마스 머튼의 관상과 행동 ― “행동 세계 속에서의 관상”을 중심으로
- 흰돌 강희남 목사의 민중 통일론
- 삼위일체 예배에서 실행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관계성 ― 삼위일체 페리코레시스와 음양 상징의 공동체적 관계에 관한 상호 비교 연구
- 백부장의 πίστις : Q복음서의 가버나움 백부장에 관한 연구
- 융의 사위일체 신정론: “넷째는 어디에 있는가”
- 예수의 비유에 나타난 개성화의 동기 ―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 관점에서
-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의 요체와 평가
- 예수 찬양 댄스 교육을 통한 기독교 문화 예술 활성화 효과
- 요안네스 카시아누스 (Ioannes Cassianus, ca.360-ca.435) 의수도 문헌에 나타난 인간, 부 (Divitia) , 그리고 탐욕 (Avaritia) 이해
- “희망: 시작의 힘 ― 인내의 힘”
- 통일 과정에서 평화 기도회에 관한 연구 ― 독일 라이프치히 성 니콜라이 교회와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의 평화 기도회를 중심으로
- 요셉 이야기(창 37:18-36) 다시 보기 ― 창세기 37:28의 번역을 중심으로
- 나중에 온 사람들에게도 ― 마태복음 20:1-16
- 로날드 바이어스의 『성서적 관점에서 바라본 성례전』
- 오직 믿음으로 (sola fide) ― 칭의론에 대한 논쟁과 성서적 해석; 루터에서 오늘까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학교 적응이 어려운 초등학교 6학년 남아의 인지 행동 놀이치료 사례연구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문제해결력(PSI), ‘양떼를 지켜라’ 문제 해결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애착 트라우마 상담 사례연구: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EMDR)와 내면가족체계(IFS) 치료의 통합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MZ 세대의 사회적·신앙적 위기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과 회복탄력성
- 규암 김약연과 북간도의 마을교육공동체 - 명동학교와 명동마을을 중심으로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