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융의 사위일체 신정론: “넷째는 어디에 있는가”
이용수 408
- 영문명
- Jung’s Quaternity Theodicy: ‘Where is the Fourth?’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손호현(Ho-Hyun Sohn)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82집(2018년 가을호), 287~31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0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심층 심리학자 카를 쿠스타프 융은 현대에 와서 신학과 심리학이 더이상 방법론적으로 분리될 수 없다고 보며 기독교의 교리들에 대한 심리 학적 개정을 수행한다. 고전적 삼위일체론은 하나님의 존재를 과도하게 영성화하고, 과도하게 남성화하고, 과도하게 단순화함으로써 필연적으로 악에 대한 물음을 발생시킨다. 특히 융이 그린 악의 구체적 얼굴은 삼중적이다: 물질, 여성, 악마가 바로 그것이다. 따라서 융의 신정론의 핵심은 고전적 삼위일체론에서 생략된 물질, 여성, 혹은 악마라는 넷째를 포함시켜 새로운 사위일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중세 연금술에서처럼 철학적 황금으로 상징되는 철학자들의 돌이 넷째로 포함될 때에, 우리는 성부-성자-성령-물질의 ‘연금술적 사위일체’를 가지게 된다. 성모승천설 교리에서처럼 여성성을 상징하는 마리아가 포함될 때에, 우리는 성부-성자-성령-성모의 ‘여성적 사위일체’를 가지게 된다. 심층 심리학에 서처럼 무의식의 그림자 혹은 어두운 하나님을 상징하는 악마가 포함될 때에, 우리는 성부-성자-성령-악마의 ‘심리적 사위일체’를 직면하게 된다. 이처럼 융의 사위일체 신정론은 선악미분의 성부, 그리스도와 악마로 분열된 이중적 인격, 그리고 더 발전된 통합으로서의 성령이라는 사위일체의 전개 과정을 가리키는 것이다. 마지막 결론에서 우리는 신학과 형이상학을 심리학의 영역 안으로 끌어들인 융의 이른바 심리주의의 위험을 사제로서의 심리학자, 정신 건강법으로서의 신정론, 그리고 건강으 로서의 구원이라는 세 주제를 통해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Carl Gustav Jung sought to overcome the methodological separation between theology and psychology, revising theological doctrines from a modern perspective of depth psychology. The classical doctrine of the Trinity over-spiritualizes, over-masculinizes, and over-simplifies the being of God, he argued, omitting the issue of the fourth, as mentioned in Plato’s Timaeus. Jung gives us a concrete threefold face of evil as matter, femininity, and devil. The crux of Jung’s theodicy is a transformation of the Trinity into a new threefold quaternity through the inclusion of the fourth within God’s essential being: the alchemical quaternity of Father-Son-Spirit-Matter, the feminine quaternity of Father-Son-Spirit-Mother, and the psychological quaternity of Father-SonSpirit-Devil. Jung believes that medieval alchemy, Catholic doctrine of assumptio Mariae, and modern depth psychology all testify to the necessity of theogenesis, i.e., what Meister Eckhart calls the birth of God within soul. The article concludes with some critical reflections on the danger of Jung’s psychologism with three issues of psychologist as priest, theodicy as mental hygiene, and salvation as psychological health.
목차
Ⅰ. 서론: 플라톤의 질문
Ⅱ. 성부: 욥의 하나님
Ⅲ. 그리스도: 욥이 된 하나님
Ⅳ. 악마: 어두운 하나님
Ⅴ. 성령: 마음 안에 탄생하는 하나님
Ⅵ. 결론: 융의 공헌과 한계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마가복음 결말의 ‘세 여자 이야기’와 여자 제자 집단 ― 마가복음 15:40-16:4과 사복음서 비교
- 토마스 머튼의 관상과 행동 ― “행동 세계 속에서의 관상”을 중심으로
- 흰돌 강희남 목사의 민중 통일론
- 삼위일체 예배에서 실행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관계성 ― 삼위일체 페리코레시스와 음양 상징의 공동체적 관계에 관한 상호 비교 연구
- 백부장의 πίστις : Q복음서의 가버나움 백부장에 관한 연구
- 융의 사위일체 신정론: “넷째는 어디에 있는가”
- 예수의 비유에 나타난 개성화의 동기 ―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 관점에서
-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의 요체와 평가
- 예수 찬양 댄스 교육을 통한 기독교 문화 예술 활성화 효과
- 요안네스 카시아누스 (Ioannes Cassianus, ca.360-ca.435) 의수도 문헌에 나타난 인간, 부 (Divitia) , 그리고 탐욕 (Avaritia) 이해
- “희망: 시작의 힘 ― 인내의 힘”
- 통일 과정에서 평화 기도회에 관한 연구 ― 독일 라이프치히 성 니콜라이 교회와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의 평화 기도회를 중심으로
- 요셉 이야기(창 37:18-36) 다시 보기 ― 창세기 37:28의 번역을 중심으로
- 나중에 온 사람들에게도 ― 마태복음 20:1-16
- 로날드 바이어스의 『성서적 관점에서 바라본 성례전』
- 오직 믿음으로 (sola fide) ― 칭의론에 대한 논쟁과 성서적 해석; 루터에서 오늘까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학교 적응이 어려운 초등학교 6학년 남아의 인지 행동 놀이치료 사례연구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문제해결력(PSI), ‘양떼를 지켜라’ 문제 해결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애착 트라우마 상담 사례연구: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EMDR)와 내면가족체계(IFS) 치료의 통합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MZ 세대의 사회적·신앙적 위기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과 회복탄력성
- 규암 김약연과 북간도의 마을교육공동체 - 명동학교와 명동마을을 중심으로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