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요셉 이야기(창 37:18-36) 다시 보기 ― 창세기 37:28의 번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179
- 영문명
- The Story of Joseph(Gen 37:18-36) Reconsidered - Focused on the Translation of 37:28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장석정(Sok-Chung Chang)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82집(2018년 가을호), 113~13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창세기 37장 28절의 번역은 단어나 표현의 번역에 그치는 문제가 아니라, 그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할 문제다. 즉, 좁게는 창세기 37:18-36의 맥락 속에서, 넓게는 창세기 37-50장 전체의 맥락 속에서 그 의미를 찾아야 할 것이다. 이 본문들에 대한 해석의 방향에 따라서 28절의 번역도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창세기 37:28의 주어를 ‘그들이’로 한다면, 미디안 사람들이 요셉을 이스마엘 사람들에게 팔고, 이스마엘 사람들이 그를 애굽에 데려가서 보디발에게 팔게 되었다는 이야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그렇지만 개역개정과 표준새번역에서처럼 주어를 ‘형들이’로 한다면, 르우벤이 구덩이가 비어 있는 것을 보고 당황했을 때 형제들이 아무런 이야기를 하지 않았던 것을 설명할 수 없게 된다. 더구나 MT에도 ‘형들이’라는 표현이 없다는 사실은, 주어를 ‘그들이’로 해야 한다는 것을 지지해 주고 있다. 요셉이 팔려간 사건을 기록한 창세기 37장 속에 두 가지의 자료층이 있다고 가정할 필요가 없으며, 28절의 번역은 ‘형제들이’ 아니라, ‘그들 이’ (미디안 사람들) 이 요셉을 저수조에서 끌어올리고 은 이십에 그를 이스 마엘 사람들에게 판 것으로 번역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translation of Genesis 37:28 is not only a matter of certain words and expressions, but also a matter of context. The current problem in the translation of 37:28 is the fact that the Korean Revised Version translated the subject ‘they’ to refer to ‘the Midianite traders.’ However, the New Korean Revised Version and the New Korean Standard Version identify the subject as ‘brothers’ in the same text and did not think the Midianites were the subject of the sentence.
If we regards ‘they’ as the subject of v. 28, the stream of the story that the Midianites sold Joseph to the Ishmaelites and the Ishmaelites brought him to Egypt and sold him to Poti-phar there, would be coherent. However, if we make ‘the brothers’ as the subject of v. 28b, it is hard to explain why the brothers did not say anything about it when Reuben found out that the pit was empty and rent his clothes. Furthermore, in MT the word ‘the brothers’ is not used and it supports the position that the subject should be ‘they’ instead of ‘the brothers.’ Although we do not know the exact reason for the content that the Midianite traders sold Joseph to Poti-phar in 37:36, the possibility would be that the Midianites and the Ishmaelites were probably interchangeable at the time.
In conclusion, we do not have to assum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sources in Genesis 37. It is correct to translate the text saying that the Midianite traders rescued Joseph from the pit and sold him to the Ishmaelites for 20 shekels. Therefore, all Korean translations should make ‘they’ the subject of v.
28b just like the Korean Revised Version. In the exegesis of the confusion aroundverse 37:36 is the result of the fact that two names for one people were used interchangeably. Later the texts say that Joseph talked about his brothers in Genesis 40 and 45 and they also support the translation of v. 28 as we suggest in this paper.
목차
Ⅰ. 서론
Ⅱ. 창세기 37장 내용 분석
Ⅲ. 37:28의 번역 제안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마가복음 결말의 ‘세 여자 이야기’와 여자 제자 집단 ― 마가복음 15:40-16:4과 사복음서 비교
- 토마스 머튼의 관상과 행동 ― “행동 세계 속에서의 관상”을 중심으로
- 흰돌 강희남 목사의 민중 통일론
- 삼위일체 예배에서 실행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관계성 ― 삼위일체 페리코레시스와 음양 상징의 공동체적 관계에 관한 상호 비교 연구
- 백부장의 πίστις : Q복음서의 가버나움 백부장에 관한 연구
- 융의 사위일체 신정론: “넷째는 어디에 있는가”
- 예수의 비유에 나타난 개성화의 동기 ―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 관점에서
-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의 요체와 평가
- 예수 찬양 댄스 교육을 통한 기독교 문화 예술 활성화 효과
- 요안네스 카시아누스 (Ioannes Cassianus, ca.360-ca.435) 의수도 문헌에 나타난 인간, 부 (Divitia) , 그리고 탐욕 (Avaritia) 이해
- “희망: 시작의 힘 ― 인내의 힘”
- 통일 과정에서 평화 기도회에 관한 연구 ― 독일 라이프치히 성 니콜라이 교회와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의 평화 기도회를 중심으로
- 요셉 이야기(창 37:18-36) 다시 보기 ― 창세기 37:28의 번역을 중심으로
- 나중에 온 사람들에게도 ― 마태복음 20:1-16
- 로날드 바이어스의 『성서적 관점에서 바라본 성례전』
- 오직 믿음으로 (sola fide) ― 칭의론에 대한 논쟁과 성서적 해석; 루터에서 오늘까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학교 적응이 어려운 초등학교 6학년 남아의 인지 행동 놀이치료 사례연구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문제해결력(PSI), ‘양떼를 지켜라’ 문제 해결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애착 트라우마 상담 사례연구: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EMDR)와 내면가족체계(IFS) 치료의 통합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MZ 세대의 사회적·신앙적 위기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과 회복탄력성
- 규암 김약연과 북간도의 마을교육공동체 - 명동학교와 명동마을을 중심으로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