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혼인 유형으로 본 결혼이민여성 인권정책 개선방안 ― 광주광역시 결혼이민여성을 중심으로 ―

이용수 74

영문명
Improvement of Human Rights Policy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by Marriage Type ― Marriage Immigrant Wome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저자명
오미란(Oh, Miran)
간행물 정보
『인권법평론』제 18호, 121~15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그 동안 결혼이민여성의 인권정책은 주로 다문화 가족 사회통합이라는 방향을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다. 이러한 정책은 정착지원이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정책을 한국어 습득 및 한국문화 배우기, 친정 보내주기, 자녀 한글지도 등 정착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한계를 초래하기도 한다. 그 동안 결혼이민여성들의 인권보호에 대한 정책연 구는 국제결혼 중개업체의 혼인 연계 절차나 국적취득 관련법 등에 관한 문제와 대한 가정 폭력, 성폭력 등 폭력에 대한 피해방지, 피해지원에 초점을 두고 제기되었다. 최근에는 국제결혼은 이미 하나의 중요한 결혼형태가 되어가고 있고 결혼이민여성의 한국생활은 이제 자녀의 보육만이 아니라 학교생활, 사회생활 영역으로 까지 확산되면서 국제결혼이민여성 관련 정책이 좀 더 다변화되고 세분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혼인 유형에 따라 차별경험과 사회적 관계망, 한국사회나 가족에 대한 기대치가 어떤 차이성을 갖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조사 결과 차별경험의 정도나 가족, 사회 등의 관계망에서 그들의 겪는 인권침해 관련 경험은 혼인유형에 따른 차이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결혼중개업체가 아니라 사적 관계망(직접만남. 친구나 친척의 소개)에 의해 결혼을 한이주여성의 경우 국적취득율이 낮을 뿐 아니라 공식적인 사회적 관계망이 취약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우리사회가 결혼중개업체를 통해 혼인한 여성들에 대한 인식이 가장 부정적임을 보여주었다. 국적 미취득자의 무소득 비율은 취득자의 2배에 이른다. 가정내에서 경험하는 차별의 경우 직접만남이나 지인을 통해 혼인을 한 경우 남편이 결혼이주여성의 모국과 왕래를 싫어하는 비중이 높았다. 반면 결혼중개업체를 통한 혼인의 경우 언어폭 력이나 무시 등의 차별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거주기간이 길수록 차별경험을 더 많이 호소한다는 점이다. 이는 기간이 길수록 차별요인을 경험 확률이 증가한다는 점과 더불어 일반 시민들에 대한 인권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결혼이민여성의 인권보호 정책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결혼이민자와 관련된 법의 개선만이 아니라, 사회적으로는 사회복지서비스 등의 인프라의 구축과 시민의식의 향상이 요구된다. 특히 결혼이민여성의 혼인경로의 다양성을 반영한 지원정책의 다변화 역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결혼중개업체로 인한 혼인과정에 대해서만 제도적 지원을 실시하는 정책을 개인적 관계망에 의존한 혼인을 선택한 유형에 대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것역시 시급한 과제이다. 사회적 관계망의 확장은 인권보호나 인권의식 증진, 사후 어려움에 대한 구제요청 등 모든 영역에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결혼이민여성들의 사회적 관계 망이 지나치게 다문화 가족지원센터에 국한되거나 사적관계망에 의존되어 있다는 점 역시 극복해야할 요인이다. 따라서 사회의 다양한 영역과 관계망의 확장, 남편이나 가족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및 의식개선, 사회 전체적인 인권의식 함양 등은 결혼유형에 따른 정책적 고려가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So far, human rights policie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placed emphasis on the social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Despite the fact that those policies have supported tho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settle in the country, the policy development has been limited to the provision of education facilities fo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culture, and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se are only concerned with the manner in which they settle in the country. In the meantime, policy research into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has centred around the themes of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 regulation, formalities for obtaining Korean citizenship, domestic violence, sexual assault, prevention of abuse, and provision of social assistance for those abused. Recently, cross-border marriage has become an important form of marriage, and the life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are now spreading to the areas of school education and general social life. This has attracted voice for diverse policy development, and necessity for more refined approach to international marriage regulatory frameworks.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show how the method of marriage has affected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terms of formation of social network, expectancy of Korean life and family,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outcome of the study,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familial and friend relationships have shown discrepancies depending on the route of marriage. In particular, the immigrant women who have married through the actual contact or the introduction from their friends rather than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s have a propensity to maintain weaker social networks and have lower levels of obtaining the citizenship. Furthermore, it has been indicated that our society conceives negative perception about the women who have married through the marriage agencies. The no income ratio of those who have not obtained Korean nationality to those who have gained the citizenship currently stands at 2:1. In relation to discrimination experienced within the family, husbands who have married the immigrant women through personal contact or friends relationships were less in favour of visiting the home country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 case of marriage through the agencies, there was a high percentage of undergoing verbal abuse or ignorance by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 longer they stay, the more they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 It may an evidential illustration that the longer they reside, they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further discriminatory factors. Thus,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promo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among the general public. In order for the policy to be effective, there is a need for the change in immigration and marriage law. It also needs redesigning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nd the shift in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 about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t may be necessary to implement diversified policies that reflect the reality of different routes of marriage. Moreover, we need further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immigrant women who have married relying on the personal or friend relationships. The extensive social networks are crucial when it comes to the protection and enhancement of human rights, and acquisition of social assistance from relevant authorities. One thing we need to overcome is that the social network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ve excessively been confined to the multicultural family welfare centres. Therefore, the further policy development should include the consistent education for husbands and his family members, the societal perspective changes as a whole, and encouragement of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목차

Ⅰ. 서론
Ⅱ. 결혼이민여성의 인권정책 현황
1. 결혼이민여성 인권 보장관련 조항
2. 결혼이민여성 현황
3. 다문화가족 정책
Ⅲ. 혼인유형별 인권의식
1. 응답자의 특성
2. 차별경험
3. 차별의 원인에 대한 인식
4. 어려울 때 지원되는 사회적 관계망
5. 자녀에 대한 차별 경험
6. 소결
Ⅳ. 결혼이민 여성 인권정책의 개선방안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미란(Oh, Miran). (2017).혼인 유형으로 본 결혼이민여성 인권정책 개선방안 ― 광주광역시 결혼이민여성을 중심으로 ―. 인권법평론, (18), 121-159

MLA

오미란(Oh, Miran). "혼인 유형으로 본 결혼이민여성 인권정책 개선방안 ― 광주광역시 결혼이민여성을 중심으로 ―." 인권법평론, .18(2017): 121-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