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가렛 드 파타 장신구의 특성 연구
이용수 206
- 영문명
- A Study on Margaret De Patta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정호연(Chung, Ho-yeon) 고보형(Koh, Bo-hyung)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2집 1권, 179~19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20년대 이후 아트장신구의 영역을 확고하게 자리 잡게 한 마가렛 드 파타의 장신구가 가진 특성을 연구하여 독립적인 예술로서의 장신구를 표현하는 개념과 표현방식을 고찰하였다. 예술과 기술의 중용, 입을 수 있는 조각품, 민주주의 정신을 바탕으로 한 장신구의 이념은 인체를 배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인체와 장신구가 하나의 조형물로서 표현되어지는 의미를 지닌다. 더불어 조형적 요소의 발전과 재료적측면의 새로운 시도들을 고찰함으로 현대 아트장신구의 발전에 응용되길 고대한다.
영문 초록
The concept of art jewelry begins with its independence from being something that merely decorates one s body; only then, the jewelry begins to have artistic significance and its own existential reason. Further, art jewelry allows for different forms of artistic and ideological expressions for both artists and wearers. In addition to being a form of expression for the artists, art jewelry is divided into something that is a part of, independent of, or dependent on the wearer s body. Wearable miniature sculptures, started by Margaret De Patta in the 1920s, are prime examples that push the societal and artistic boundaries of what accessories represent. Margaret De Patta convincingly expanded the traditional meanings of accessories by incorporating both architectural and sculptural aspects into her works. These cross-field connections challenged the society to think about what decoration means to us and newly established the concept of art jewelry as a piece of art that one can wear. Her work of art stands out from her contemporary peers due to her ability to convincingly communicate her artistic principles through in a formative manner. In my research, I attempt to understand her work of arts through the formative language and meanings embedded within it. De Patta s body of work is historically significant because it approached the public with a new definition of wearable art. As a researcher, I want to thematically examine the background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er work, since her work, from arrangements to materials used, carries a central language and objective. Through this research, I hope to contribute to the evolution of the field of modern art jewelry.
목차
Ⅰ.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Ⅱ. 마가렛 드 파타 장신구의 개념적 특성
1. 예술과 기술의 중용
2. 독립된 예술
3. 민주주의
Ⅲ. 마가렛 드 파타 장신구의 표현적 특성
1. 전통장신구의 재해석
2. 구성주의
3. 포토그램의 응용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노 다완(美濃茶碗)을 통해 본 모모야마시대(桃山時代) 도자의 특징과 변천
- 1800년 순조 왕세자 책봉 교명과 교명궤의 제작실태
- 니콜라 부리오 ‘관계 미학’의 변화
- 대중적 공예 시장으로서 문화장터의 특성 연구
- 공예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반사효과를 활용한 현대 장신구 연구
- 한지작품제작을 위한 옻칠화기법 활용 연구
- 현대미술의 관점에서 본 현대자수의 표현양상
- 개념 공예의 전개에 관한 연구
- 마가렛 드 파타 장신구의 특성 연구
- 딥 러닝을 활용한 인공지능의 예술표현 사례 연구
- 중국 설치미술에 영향을 미친 선종사상 연구
-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아이덴티티 적용 연구
- 이명호의 ‘캔버스-재현효과’ 사진론 연구
- 현대장신구의 시작과 미술가 기여에 관한 연구
- 사물인터넷과 키네틱 건축을 적용한 고령자 주거공간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조형예술에서 살펴본 매듭의 다층적 역할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