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사원과 삼국의 불교문화 교류

이용수 259

영문명
Buddhist Temples of the Baekje Period and Exchanges of Buddhist Culture among the Three Kingdoms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이병호(Lee, Byong Ho)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49輯, 215~258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1.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부여 정림사지와 익산 미륵사지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서 백제 사원의 독창성과 국제성이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백제의 불교 사상이나 신앙, 절터에서 발견된 물질자료들은 과연 고구려나 신라와 구별되는 독특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기존의 연 구사를 정리하여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모색한 글이다. 2장에서는 역사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삼국시대 불교사 연구의 동향 속에서 백제 불교사가 이룬 성과를 검토하였다. 삼국은 불교가 수용되는 시기나 과정이 달랐고 그에 따라 초기에는 불교 교학이나 신앙에 차이가 있었다. 그에 따라 삼국의 불교사는 각 국의 독자성이나 차별성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연구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불교는 넓은 포용력과 보편성을 가진 종교였기 때문에 삼국의 불교 신앙이나 교학은 결과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띠게 되었다. 법화신앙이나 관음신앙, 미륵신앙은 백제에서만 유행한 신앙이 아니며, 승려나 기술자의 왕래를 통해 삼국의 불교는 점차 유사해졌다. 삼국시대 불교사 연구가 반드시 각 나라의 특징을 밝힐 필요는 없다. 3장에서는 부여와 익산 지역에서 발굴된 백제 사원의 유구나 유물이 고구려, 신라의 그것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고구려의 경우 청암리사지ㆍ정릉사지의 건물 기단이나 배치에서 유사성이 인정되지만 팔각탑과 같은 차이가 확인된다. 신라 사원은 흥륜사지나 황룡사지에서 발견된 기와 등의 출토유물과 건물 축조 기술에서 백제와의 연관성이 확인되며, 감은사지 등 다른 절터에서도 백제 사원과의 유사성이 확인되고 있다. 삼국의 불교나 사원에서 확인되는 이러한 공통성은 삼국이 불교를 매개로 하여 점차 문화적ㆍ정신적 공동체로 나아갔다는 증거로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ince the registration of the Jeongnimsa Temple Site in Buyeo and the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as UNESCO world culture heritage sites, the originality and universality of Buddhist temples of the Baekje period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is regard, one must stop and wonder whether the materials found at these Baekje-period temple sites and the Buddhist philosophy propounded by them are sufficiently unique to clearly distinguish them from those of the Goguryeo and Silla periods. This paper attempts to shed light on existing studies of history involving the Three Kingdoms and to find a desirable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on this subject. Chapter 2 of the paper reviews the results of a study of the history of the Baekje Buddhism as part of a wider study on the Buddhist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s the Three Kingdoms adopted and assimilated Buddhism at different times and in dif-ferent ways, they inevitably displayed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religious doctrines and beliefs during the early days. Studies on the history of their respective forms of Buddhism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focus on the originality or distinction displayed by each of them. However, Buddhism is a religion characterized by magnanimity and universality and thus the religious doctrine or beliefs developed in the Three Kingdoms are in some respects not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Faith in the Lotus Sutra and the Avalokiteshvara Sutra, and in the Maitreya Bodhisattvas, for example, did not develop uniquely in Baekje. The Buddhism of the Three Kingdoms came to be assimilated with each other through exchanges between monks and the architects and builders of Buddhist structures. This means that one does not have to focus on the particular features of any one of the Three Kingdoms while studying the history of Buddhism there. Chapter 3 of the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elics found in Baekje-period temples in Buyeo and Iksan and those discovered at Goguryeo and Silla temples. The foundations and the layout of the sites of Goguryeo temples such as the one in Cheongam-ri and Jeongneungsa Temple share certain similarities with those of Baekje, whereas the octagonal wooden pagoda at the site of a temple in Cheongam-ri is distinct from those of Baekje. Relics like the roof tiles unearthed from the sites of Silla temples, including Heungnyunsa or Hwangnyongsa temples, and the building techniques in evidence there point strongly to an association with those of Baekje. The similarity with temples of the Baekje period can also be seen at the Gameunsa Temple site among others. As such, would it be incorrect to suggest that the commonalities shared by the Buddhist religion and temples of the Three Kingdoms constitute proof that they gradually developed as a single cultural and spiritual community through Buddhism?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삼국의 불교사 연구 속 백제 불교
3. 백제 사원과 고구려, 신라의 상관성
(1) 고구려 사원과의 비교
(2) 신라 사원과의 비교
4.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호(Lee, Byong Ho). (2017).백제 사원과 삼국의 불교문화 교류. 보조사상, 49 , 215-258

MLA

이병호(Lee, Byong Ho). "백제 사원과 삼국의 불교문화 교류." 보조사상, 49.(2017): 215-2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