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시대 編年 石塔의 전개와 미술사적 의의

이용수 171

영문명
A study on the Aspect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Dated Stone Pagodas during the Goryeo Dynasty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엄기표(Eom, Gi Pyo)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49輯, 79~124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1.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미술사에서 양식사에 대한 연구는 분야별로 상당한 성과가 있었지만 그 이면을 보면 편년을 분명하게 알 수 있거나 편년을 설정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는 조형물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 석조미술사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石塔에 대한 양식사 연구도 마찬가지이다. 고려시대 석탑 양식의 특징과 변천 과정 등에 대한 일련의 체계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현존하는 고려시대 편년 석탑들에 대한 현황과 양식적 특징 등을 살펴보는 것은 고려시대 석탑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준다고 할 수 있다. 고려시대 건립된 편년 석탑들은 건립 시기를 알 수 없는 석탑들의 편년을 설정하는데 기준이 되며, 시기별 석탑 양식의 특징과 흐름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 고려시대 편년 석탑들을 통하여 볼 때, 고려 초기를 지나면서 서서히 고려화 된 석탑들이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전기에는 전대부터 계승된 석탑의 기본적인 양식은 유지하면서 시기별, 지역별, 장인별, 사찰별 등으로 특징적이고 다양한 석탑이 건립된 것으로 파악 된다. 그리고 탑명을 통하여 왕실이나 중앙정부 차원과 개인적인 차원에서 석탑이 건립되기도 했으며, 대부분 국태민안과 공덕 등을 쌓기 위하여 건립 했다. 편년 석탑들은 고려시대 석탑의 양식과 특징들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는 측면에서 미술사적 의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re are considerable achievements in various fields of research for a form on the Korean art history. However, the other side to set up a chronology can be a criterion a study on the architectures are not many, it is true. A form of study on the stone pagodas that form the mainstream of art history our country, too. And transition,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ryeo Dynasty pagoda form a series of systems can be specific and clearly established that he was not. Chronology of consideration existing stone pagoda of features such as the Goryeo Dynasty to take a look at the current state and form stone pagoda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provides an important clue to do. A chronology of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pagoda were unknown when construction benchmark to set up a chronology of the stone pagodas. Stone pagoda of features and each time a chronology of this pagoda were useful in determining the flow of data to provide. The Goryeo Dynasty pagoda were built slowly over a stone pagoda are taken into account the early. Inherited from the group in the Koryŏ period while still maintaining the basic form of the Stone, regional, artisan, and features such as by a variety of temple stone pagoda was construc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royal or stone pagoda in central government level was founded. Chronology pagoda stone pagoda in the Goryeo Dynasty style and features provide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These pagodas are because you have a high art history and significance can do in these aspects.

목차

Ⅰ. 서 론
Ⅱ. 고려시대 編年 石塔의 건립 양상
Ⅲ. 고려시대 編年 石塔의 특징과 미술사적 의의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기표(Eom, Gi Pyo). (2017).고려시대 編年 石塔의 전개와 미술사적 의의. 보조사상, 49 , 79-124

MLA

엄기표(Eom, Gi Pyo). "고려시대 編年 石塔의 전개와 미술사적 의의." 보조사상, 49.(2017): 79-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