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승기신론의기」의 무애설 「탐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34

영문명
The theory of non-obstacle in Dashengqixinlunyiji (「大乗起信論義記」)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Huayanjingtanxuanji (「華嚴經探玄記」)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김천학(Kim, Cheon Hak)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52輯, 127~15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법장(法藏)의『대승기신론의기(大乘起信論義記)』에서 「기신론」과 「화엄경」의 교판적 관계는 여전히 미해명의 과제이다. 단적으로 말하면 「의기」의 4종판 가운데 여래장연기종과 「화엄경」의 관계 문제이다. 전통적으로는 4종판에「화엄경」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본다. 그러나 「의기」 자체에는 그것을 주장할 만한 적극적인 증거가 없다. 「기신론」이 교판적으로 종교에 서 원교에 해당한다는 가설도 있으며, 회입의 동교라는 가설도 있지만, 둘 다 충분히 논증되지 않았다. 2018년에는 ‘초기(初機)’라는 「기신론」의 근기를 분석하여 「기신론」에는 교판적으로 원교의 일부인 일승동교적 속성이 있으며,『화엄경』과 「기신론」의 동등성도 어느 정도 인정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가설을 더욱 보강하기 위하여 집필되었다. 「의기」의 무애설은 「탐현기」의 무애설과 관련시킬 경우, 종교 및 동교일승, 별교의 교판적 위상으로 설명된다. 그 이유는 「의기」의 이사통융무애 와 「탐현기」의 이사혼융무애의 동질성 때문이며, 이사무애문에서 구사되는 ‘동일연기(同一縁起)’, ‘원명자재(圓明自在)’ 등은 「탐현기」에서는 별교일승(別敎一乘)의 입장에서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예를 통하여 「의기」에서 「기신론의 교판적 위상은 종교(終敎)를 넘어 별교를 포함한 화엄 원교까지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해석하였다. 그러나 「의기」에서는「탐현기」의 별교일승에서 사용하는 관용표현인, 제망중중(帝網重重) 등의 독특한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관용 표현적 한계를 고려할 때, 「의기」에서의 「기신론」의 교판적 위상은 별교일승을 배제하지 않으며, 적극적으로는 종교와 원교로서의 동교일승(同敎一乘)에 해당된다.

영문 초록

It is still a problem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of doctrinal taxonomy(敎判) between Dashengqixinlun(大乘起信論) and Dafangguangfohuayanjing(大方廣佛華嚴經) in Dashengqixinlunyiji (大乘起信論義記, hereafter Yiji) by Fazang(法藏, 643-712). Traditionally it has been assumed that Fazang’s doctrinal taxonomy in Yiji does not include Huayanjing but there is also another theory that Huayanjing is included from the final teaching(終敎) to the complete teaching(圓敎). Recently the view that Qixinlun are of one vehicle of the teaching of commonality (同敎一乘) in Yiji’s doctrinal taxonomy was presented. This paper focuses on the theory of non-obstacle in order to reinforce the theory that Qixinlun is included in one vehicle of the teaching of commonality in the system of the doctrinal taxonomy of Yiji. The theory of non-obstacle in Yiji is described as related to the final teaching, one vehicle of the teaching of commonality and one vehicle of the teaching of distinction(別敎一乘) when associated with the theory of non-obstacle in Tanxuanji. This is because the idioms used in the path of no-obstacle between principle and phenomena(理事無礙門) of Yiji such as ‘the same dependent arising(同一縁起), ‘perfectly bright unrestrictedness (圓明自在)’ and so on are related to one vehicle of the teaching of distinction(別敎一乘) in Tanxuanji. Through these examples, we can assume that the taxonomical status of Qixinlun in Yiji extends beyond the final teaching to Huayan complete teaching. However, Yiji does not use the idioms like the repeated repetition of Indra’s net(帝網重重) which is shown typically in one vehicle of the teaching of distinction in Tanxuanji. Given the limitations of this idioms, the taxonomical status of Qixinlun in Yiji might be seen as one vehicle of the teaching of commonality composed of the final teaching and the complete teaching.

목차

Ⅰ. 문제의 소재
Ⅱ. 「의기」현담의 무애설
1. 여래장연기종의 이사융통무애
2.제5 능전교체의 제4 무애문
Ⅲ. 「의기」본문의 무애설
1.「화엄경」「부사의법품」의 이사무애
2.원융자재무애와 자체무장애원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천학(Kim, Cheon Hak). (2018).「대승기신론의기」의 무애설 「탐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보조사상, 52 , 127-153

MLA

김천학(Kim, Cheon Hak). "「대승기신론의기」의 무애설 「탐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보조사상, 52.(2018): 127-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