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선추적을 활용한 방해자극 유형에 따른 단어재인 과제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간 수행력 비교

이용수 232

영문명
Age-Related Differences in Word Recognition Task according to the Interference Types: Evidence from Eye-Tracking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조혜련(Hye Lyun Jo) 성지은(Jee Eun Su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1, 186~204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노화에 따른 노년층의 언어능력에 관해 단어재인 과정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실시간 언어처리 과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해자극 유형에 따른 단어재인 과제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간 수행력을 시선추적기 법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정상 청년층 24명과 정상 노년층 22명을 대상으로, 방해자극 유형에 따른 단어재인 과제를 실시하였 다. 정반응률(%)과 반응시간(ms), 시선추적기(eye-tracker)를 활용한 목표자극의 시선고정비율(proportion of fixation)과 방해자극의 시선고정비율을 유형별로 각각 산출하였다. 결과: 단어재인 과제 정확도 및 반응시간에서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력을 보였다. 구간에 따른 집단 간 목표자극의 시선고정비율에 대한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간별 주효과와 구간과 집단간 이차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반면, 집단 간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구간에 따른 집단 간 방해자극의 시선고정비율에 대한 삼원 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간별 주효과, 방해자극 유형별 주효과, 구간과 방해유형 간 이차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반면, 집단 간주효과, 구간과 집단 간 이차 상호작용, 방해유형과 집단 간 이차 상호작용, 구간에 따른 방해유형과 집단 간 이차 상호작용이 모두 유의 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노년층의 경우,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에서 청년층에 비해 수행력이 감퇴하였고, 실시간 시선고정비율에서 또한 처리 속도 저하(slowed processing)가 관찰되었다. 하지만, 신경학적 손상이 분명한 환자군에서 관찰되었던 방해자극 유형에 따른 영향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년층의 경우, 음운 및 의미 방해자극을 억제하는 실시간 능력은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단어재인 과정에서의 주요 손상 기제는 처리 속도 저하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re is considerable controversy with respect to language processing in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ge-related differences in word recognition tasks according to interference types with Eye-tracker. Methods: A total of 46 participants (24 young and 22 elderly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word recognition task and an online eye-tracking analysis were used. The stimuli consisted of 80 Korean nouns with four types: target, phonologically related objects to the target, semantically related objects to the target, and unrelated objects. Each critical trial display included four types. Participants were asked to select one of the pictures after the target was auditorily presented. Results: The elderly group had lower accuracy and slower reaction time than the young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 and time-window. The young group fixated the target longer than the elderly group in the time window of 1,000-1,800 ms. According to the proportion data of the interference type,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ypes and time-window. Both groups fixated the phonologically related picture longer than semantically related picture or unrelated picture in 1,000-1,400 ms time-window. Conclusion: Elderly adults demonstrated delayed processing when compared with younger adults, whereas age-group differences did not emerge as a function of the interference types. There was aging-related decline in online processing of the word recognition abilities, but differential effects by the interference types did not efficiently discriminate the groups, indicating that their online processing abilities to inhibit phonologically and semantically related foils may be intact, although elderly adults suffered from slowed processing.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련(Hye Lyun Jo),성지은(Jee Eun Sung). (2019).시선추적을 활용한 방해자극 유형에 따른 단어재인 과제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간 수행력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1), 186-204

MLA

조혜련(Hye Lyun Jo),성지은(Jee Eun Sung). "시선추적을 활용한 방해자극 유형에 따른 단어재인 과제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간 수행력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1(2019): 186-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