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범주 경계 사이에 있는 말 자극에 대한 사건관련전위 및 변별 반응

이용수 42

영문명
Event-Related Potentials and Behavioral Responses to CV Stimuli Straddling Category Boundary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Ji Young Lee Mark S. Hedrick Ashley W. Harkrider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1, 129~14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P300는 진폭이 크고 반복 측정되는 사건관련전위 중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범주 경계 사이에 있는 말 자극을 사용 하였을 때에 P300가 자극의 이탈 정도와 두피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변별에 대한 행동 반응이 자극의 이탈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P300와 행동 반응이 상관관계를 보이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정상청력을 가진 성인 20명으로부터 P300와 변별 반응에 대한 데이터를 아드볼 패러다임으로 측정하였다. 9단계의 /bi/-/pi/ 연속체에 대한 라벨링 검사 결과, 범주 내에 있는 1개의 CV를 표준자극으로, 범주 경계에 있는 2개의 CVs를 각각 약한 이탈 자극(WD)과 강한 이탈 자극(SD)으로 사용하였다. 결과: P300 진폭은 WD보다 SD에 대해 더 컸으며, 전두부보다 중앙부와 두정부에서 크게 나타났다. P300 잠복기는 WD보다 SD에 대해 더 짧았으며, 두피 위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변별 정확도는 WD보다 SD에서 더 높았고, 반응시간은 WD보다 SD에서 더 빨랐다. 그리고 반응시간과 P300 진폭은 음의 상관관계를, 반응시간과 P300 잠복기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P300의 진폭과 잠복기는 미세한 음성학 변화에 대한 지각적 처리를 반영하며, 반응시간과 상관관계를 가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in depth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300 response reflected in the processing of across-category speech stimuli by determining whether the P300 is different for the extent of deviancy of stimuli and a scalp distribution; the behavioral response is different for the extent of deviancy of stimuli; and the P300 is correlated with the behavioral response. Methods: The P300 and behavioral data were measured in an oddball paradigm from twenty normal-hearing adults. From behavioral labeling test results of a nine-step series /bi/-/pi/ continuum, one within-category CV was selected as a standard stimulus and two across-category CVs were selected as weak (WD) and strong deviant stimuli (SD), respectively. Results: The P300 amplitude was larger for SD than for WD and on central and parietal regions than frontal region while the P300 latency was shorter for SD than for WD with no difference for the scalp distribution. The accuracy response was greater and reaction times were faster for SD than for WD. And reaction tim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300 amplitude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P300 latency.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300 amplitude and latency can reflect perceptual processing of subtle phonetic changes in across-category speech stimuli, and they are correlated with reaction times.

목차

METHODS
RESULTS
DISCUSSION &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Ji Young Lee,Mark S. Hedrick,Ashley W. Harkrider. (2019).범주 경계 사이에 있는 말 자극에 대한 사건관련전위 및 변별 반응.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1), 129-140

MLA

Ji Young Lee,Mark S. Hedrick,Ashley W. Harkrider. "범주 경계 사이에 있는 말 자극에 대한 사건관련전위 및 변별 반응."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1(2019): 129-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