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령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증거성 표지와 어휘 이해 특성
이용수 461
-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Comprehending Evidential Markers and Words for Korean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송명은(Myeong-Eun Song) 이희란(Hee Ran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1, 9~1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화자가 전달하려는 정보의 출처와 확실성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증거성 체계로서의 문법표지와 어휘를 이해하는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만 5, 6세 단순언어장애 아동 15명, 일반아동 15명 으로 총 30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문법표지 ‘-네(직접경험)’와 ‘-것 같아(간접추론)’, 그리고 어휘 ‘보다(직접경험)’, ‘생각하다(간접추 론)’가 포함된 문장에 대한 이해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은 직접경험을 나타내는 사건문장을 듣고 나서 직접 경험표지 ‘-네’와 간접추론표지 ‘-것 같아’의 진술 가운데 직접경험을 선택하는 이해 과제에서 일반아동보다 수행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러한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은 증거성 표지와 증거성 어휘를 이해하는 수행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일반아동 집단은 증거성 표지보다는 증거성 어휘가 포함된 문장 이해 수행 정도가 더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논의 및 결론: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일반아동과 달리 경험과 추론을 나타내는 문법표지와 어휘 이해 모두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발달 초기에 습득되는 고빈도의 문법표지와 어휘일지라도 경험과 추론이 라는 증거성 체계로써 맥락정보를 활용해야 하는 담화 수준에서 사용될 때는 언어장애 아동에게 특정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러한 중요성이 중재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designed to study the ability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nd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to comprehend the source of information in sentences using grammatical markers and words that present evidentiality.
Methods: Fifteen 5- to 6-year-old children with SLI and 15 age-matched T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tested with comprehension tasks using sentences which include grammatical markers (direct experience ‘-nae’, indirect inference ‘-geot gata’) and words (direct experience ‘see’, indirect inference ‘think’) that indicate the source of information. Results: The SLI groups exhibited difficulty in the tasks that asked them to choose between direct experience markers (‘-nae’) and indirect inference markers (‘-geot gata’).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groups were significan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mprehension of the evidential markers and words in each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up of SLI.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llowing the evidential markers and words in the group of TD children. Conclusion: Children with SLI had difficulty comprehending both grammatical markers and words in which both experience and inference were presented when compared to TD children. This study has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have difficulties in the use of high frequency evidentiality grammatical markers and words that are learned at an early development stage and used for discourse.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선추적을 활용한 청년층과 노년층의 작업기억의 저장 및 처리기능 연구
-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구문인식능력 특성과 읽기이해능력과의 상관관계
- 교사보고형 아동 언어능력 평가척도(TROLL)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한국 대학생과 미국 대학생의 AAC 사회어 그림 상징 인식에 대한 문화적 차이
- 구인두 연하장애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텍스트 마이닝 활용: 개념 증명
- Correction: Content Validity of the Swallowing Monitoring and Assessment Protocol for the Elderly
- 외현적 시연과 청각적 입력 강화가 말소리장애 아동의 지연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 시선추적을 활용한 방해자극 유형에 따른 단어재인 과제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간 수행력 비교
- 범주 경계 사이에 있는 말 자극에 대한 사건관련전위 및 변별 반응
- 유치원에서 초등 3학년 아동의 철자쓰기 발달 특성
- 발달장애 청소년의 이모티콘을 활용한 의사소통 연구
- 언어 친숙성 가설과 지연청각역입: 칸나다어(L1)-영어(L2) 이중언어사용 일반아동의 구어붕괴
- 학령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증거성 표지와 어휘 이해 특성
- 모국어 말소리 대조 시 작업기억과 변별능력 간의 연관성
- 4-9개월 한국 아동의 음절성 옹알이
- 말더듬 회복 여부에 따른 초기 말더듬아동의 언어능력
- 뇌졸중 환자의 삼킴장애지수(DHI)를 통한 삼킴 관련 삶의 질과 관련 변인 분석
- 호흡훈련기를 활용한 성대에어로빅치료 프로그램의 음성개선 효과 사례연구
- 의미자질분석 중재에 따른 장노년층의 이름대기 및 인지능력 변화
-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단기기억과 외국어 어휘학습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교수·학습 설계가 문화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 시대의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 교육과 리터러시 역량
- 인공지능 기반 한문 번역을 위한 코퍼스 추출 및 정제 과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