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령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증거성 표지와 어휘 이해 특성

이용수 487

영문명
Characteristics of Comprehending Evidential Markers and Words for Korean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송명은(Myeong-Eun Song) 이희란(Hee Ran Le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1, 9~1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화자가 전달하려는 정보의 출처와 확실성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증거성 체계로서의 문법표지와 어휘를 이해하는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만 5, 6세 단순언어장애 아동 15명, 일반아동 15명 으로 총 30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문법표지 ‘-네(직접경험)’와 ‘-것 같아(간접추론)’, 그리고 어휘 ‘보다(직접경험)’, ‘생각하다(간접추 론)’가 포함된 문장에 대한 이해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은 직접경험을 나타내는 사건문장을 듣고 나서 직접 경험표지 ‘-네’와 간접추론표지 ‘-것 같아’의 진술 가운데 직접경험을 선택하는 이해 과제에서 일반아동보다 수행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러한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은 증거성 표지와 증거성 어휘를 이해하는 수행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일반아동 집단은 증거성 표지보다는 증거성 어휘가 포함된 문장 이해 수행 정도가 더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논의 및 결론: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일반아동과 달리 경험과 추론을 나타내는 문법표지와 어휘 이해 모두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발달 초기에 습득되는 고빈도의 문법표지와 어휘일지라도 경험과 추론이 라는 증거성 체계로써 맥락정보를 활용해야 하는 담화 수준에서 사용될 때는 언어장애 아동에게 특정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러한 중요성이 중재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designed to study the ability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nd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to comprehend the source of information in sentences using grammatical markers and words that present evidentiality. Methods: Fifteen 5- to 6-year-old children with SLI and 15 age-matched T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tested with comprehension tasks using sentences which include grammatical markers (direct experience ‘-nae’, indirect inference ‘-geot gata’) and words (direct experience ‘see’, indirect inference ‘think’) that indicate the source of information. Results: The SLI groups exhibited difficulty in the tasks that asked them to choose between direct experience markers (‘-nae’) and indirect inference markers (‘-geot gata’).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groups were significan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mprehension of the evidential markers and words in each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up of SLI.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llowing the evidential markers and words in the group of TD children. Conclusion: Children with SLI had difficulty comprehending both grammatical markers and words in which both experience and inference were presented when compared to TD children. This study has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have difficulties in the use of high frequency evidentiality grammatical markers and words that are learned at an early development stage and used for discourse.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명은(Myeong-Eun Song),이희란(Hee Ran Lee). (2019).학령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증거성 표지와 어휘 이해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1), 9-18

MLA

송명은(Myeong-Eun Song),이희란(Hee Ran Lee). "학령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증거성 표지와 어휘 이해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1(2019): 9-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