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모국어 말소리 대조 시 작업기억과 변별능력 간의 연관성

이용수 52

영문명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and Identification of a Few Native Phonetic Contrast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Usha Shastri Keerthana Kulath Purath Raj Mable Mathew Mohan Kumar Kalaiah Ajith Kumar Uppunda c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1, 117~128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모국어의 말소리(phone)를 변별할 때, 특히 도전적 상황에서 이를 수행할 때에는 매우 큰 개인차가 존재한다. 말소리 변별 시 유용한 단서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인지능력에 의해 촉진되는지, 이를 통해 개인차를 어느 정도 설명해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말라얄람어(Malayalam)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청자가 말라얄람어 말소리를 맥락 단서 없이 구분할때 작업기억능력과 변별능력 간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말라얄람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18-25세 청자 40 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자들로 하여금 무의미단어 사이에 삽입된 말라얄람어 8개 말소리를 변별하도록 하였다. 읽기폭 과제, 조작폭 과제, 숫자 바로외우기 과제, 숫자 거꾸로외우기 과제 등을 이용하여 작업기억능력을 측정하였고, 각 말소리의 변별점수, 전체 말소리 변별점수(8개 말소리로부터 얻은 평균변별점수)와 변별 시 반응시간을 함께 측정하였다. 결과: 참여자의 말소리 변별점수는 57.8%-99%의 범위를 보였다. 피어슨 적률상관분석 결과 모든 작업기억능력 측정치와 전체 말소리 변별점수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나 작업기억능력이 말소리 변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기억능력의 측정치는 말소리 변별점수 다양성의 24.7%를 설명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맥락 단서가 없는 상황에서의 말소리 변별은 인지 부담을 높인다. 그러므로 높은 능력은 어려운 상황에서 모국어 말소리를 변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연구는 모국어 말소리 지각에서 인지가 미치는 하향식 영향력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Large individual variability is documented for identification performance of native phones, especially in challenging situations. It is not known whether the ability to utilize cues available for phone identification is facilitated by cognitive abilities, thereby explaining a proportion of the individual variabil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identification of a few Malayalam phones in the absence of contextual cues among native listeners. Methods: Forty native listeners of Malayalam, aged between 18 and 25,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identified 8 Malayalam phones embedded in nonsense words. Working memory capacity was measured using tasks such as reading span, operation span, digit forward span, and digit backward span. Identification score for each phone, total phone identification score (average identification score from 8 phones), and reaction time during identification were obtained. Results: Phone identification score of participants ranged from 57.8% to 99%.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measures of working memory capacity and total phone identification score, indicating that working memory capacity play a role in the identification of phones. Reaction tim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digit backward span and operation span. The measures of working memory capacity accounted for 24.7% of the variability in phone identification score. Conclusion: Identification of phones in the absence of contextual cues increases the cognitive load. Therefore, higher working memory capacity might aid in native phone identification in difficult situations. This study reveals the top down influence of cognition on native speech perception.

목차

METHODS
RESULTS
DISCUSSION &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Usha Shastri,Keerthana Kulath Purath Raj,Mable Mathew,Mohan Kumar Kalaiah,Ajith Kumar Uppunda c. (2019).모국어 말소리 대조 시 작업기억과 변별능력 간의 연관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1), 117-128

MLA

Usha Shastri,Keerthana Kulath Purath Raj,Mable Mathew,Mohan Kumar Kalaiah,Ajith Kumar Uppunda c. "모국어 말소리 대조 시 작업기억과 변별능력 간의 연관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1(2019): 117-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