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9개월 한국 아동의 음절성 옹알이

이용수 284

영문명
Canonical Babbling in Korean-Acquiring Infants at 4-9 Months of Age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하승희(Seunghee Ha)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1, 1~8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음절성 옹알이의 출현은 생후 1년 동안 점진적으로 습득해가는 말산출 능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발달을 의미한다. 본연구는 아동의 자연스런 가정 환경에서 하루 동안 수집된 발성 자료를 토대로 4-9개월 한국 아동의 음절성 옹알이의 발달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주양육자의 보고에 따라 출생 전-중-후와 발달상의 문제가 없었던 생후 4-9개월 된 26명의 일반아동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언어환경분석기(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LENA)를 이용하여 아동의 가정에서 하루 동안 녹음자료를 수집하였 다. LENA 녹음 자료에서 아동의 발성 수가 많은 순서로 5분 길이의 구간을 20개 선택하여, 아동당 100분의 녹음 자료를 분석하였다. 초기 발성에 대한 집중적인 훈련을 마친 분석자가 선택된 녹음 자료를 들으면서 발성의 4가지 음절 유형(음절성, 비음절성, 활음, 성문파열 음이 포함된 음절)을 정하였다. 아동을 4-6개월과 7-9개월의 월령 집단으로 나누어 월령과 성별에 따라 각 발성 음절의 수와 음절성 옹알이의 비율이 유의미하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결과: 7-9개월 집단은 4-6개월 집단보다 음절 유형 중 음절성 옹알이의 수가 유의미하게 많아 음절성 옹알이 비율이 높았다. 7-9개월 월령 집단에서 8명이 음절성 옹알이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음절성 옹알이의 수와 음절성 옹알이 비율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자연스런 가정 환경에서 아동의 발성을 대표할 수 있는 충분한 녹음 자료를 토대로 6개월 미만의 어린 한국 아동을 대상으로 음절성 옹알이의 발달상의 변화를 자세히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Canonical babbling is a key feature of vocal development in the first yea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hanges in canonical babbling in Korean-acquiring infants from 4 to 9 months of age based on vocal samples obtained through all-day recordings in naturalistic environments. Methods: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LENA) all-day home recordings were obtained from 13 infants aged 4-6 months and 13 infants aged 7-9 months. Twenty 5-minute segments with the highest child vocalization rate were extracted from each infant’s LENA recording. The coders, who received intensive coding training, determined syllable types (canonical, non-canonical, glide, or glottal syllables) while listening to the selected recordings. The effects of age and gender were determined on the number of each syllable type and canonical babbling ratios (CBR).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fants aged 7-9 months produced significantly more canonical syllables and showed higher CBR than infants aged 4-6 months. Eight 7 to 9-month-old infants had entered canonical babbling stage. Boys produced significantly more canonical syllables and showed higher CBR than girls in this study. Conclusion: This study is the first effort to evaluate canonical babbling in Korean-acquiring infants and examine vocal development through a representative sampling of vocalizations in natural environments through day-long recording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승희(Seunghee Ha). (2019).4-9개월 한국 아동의 음절성 옹알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1), 1-8

MLA

하승희(Seunghee Ha). "4-9개월 한국 아동의 음절성 옹알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1(2019): 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