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Узбекский алфавит на латинице: проблемы и решения
이용수 5
- 영문명
- The Uzbek Alphabet in Latin: The Problems and the Solution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 저자명
- Машраббекова А. М. (Mashrabbekova A. M.)
- 간행물 정보
- 『러시아학』러시아학 제18호, 337~3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anguage is an invaluable gift that a person is endowed with and in the implementation of which writing plays an extremely important role. For this reason, every nation tries to ensure consistency between its native language and writing. Unfortunately, changes in historical political processes sometimes lead to a renewal of language and writing. In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he Uzbek people, in connection with various socio-political processes, the written system has changed several times.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the Arab conquest, the Arabic script was introduced into the Turkic written culture, and as a result of the conquest of the Russian Empire, the Cyrillic alphabet. These writings contain a lot of scientific, literary, historical and legal sources that have survived. They are still being studied as an invaluable spiritual heritage of the Uzbek people. Of course,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the emergence of independent republics created the prerequisites for the formation of a new language and writing policy in the countries of Central Asia.
Uzbekistan, which on October 21, 1989, granted the Uzbek language the status of a state language, and made an important step towards independence, in the first years of independence, determined its language policy, which corresponded to its development strategy, and adopted a national alphabet based on Latin script. This article analyzes the scripts that the Uzbek people used in their distant and near history, the socio-historical reasons for using these scripts, the need to reintroduce the Latin alphabet, the experience gained in this area for 25 years, the problems of implementing the national alphabet also ways to solve these problems.
목차
I. Введение
II. Письменности, которые в своей истории использовались узбекским языком
III. Узбекский язык и узбекский алфавит на основе кириллицы
IV. Узбекский латинский алфавит и узбекский язык:
интеграция в мир
VI. Текущее состояние введения узбекского алфавита на основе латиницы
VII. Узбекский алфавит на основе латиницы:
проблемы и решения
VIII. Заключение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Стилистический анализ прозы С. Довлатова: на материлале произведния «Компромисс»
- 상징주의의 생예술 이념 (2): 뱌체슬라프 이바노프
- 연극윤리학으로서 스타니슬랍스키의 시스템
- 소비에트 텔레비전과 대중문화의 형성과 전파: 1950~1960년대를 중심으로
- 러시아 표준어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서 표준어의 주도적 주체와 표준어의 사회적 기반의 상관성 (II): 20세기 말 ― 21세기 초 사회정치적 영역의 차용어를 중심으로
- 시베리아 소수민족 1) 부랴트어 연구
- 번역자의 페르소나: 플라토노프와 비토프의 작품 기법 비교연구 *
- 러시아 과학기술 현황과 전망에 대한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을 중심으로
- Узбекский алфавит на латинице: проблемы и решения
- Законодательство о некоммерческих организациях в России: история и современное состояние
- Поэтическая трансформация философии Ф. Ницше в раннем творчестве В. В. Маяковского
- Исследование фоновых знаний и их роли в процессе перевода
- Добруджанский треугольник осенью 1916 г.: столкновение славян в борьбе за Румынию
- 전언 표지로서의 만주어 첨사 sere의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스토리콘텐츠 6집 목차
- 한국 오컬트 드라마 속 자아의 분열과 저항적 주체의 형성 : SBS 드라마 〈악귀〉의 경우
- 문화인류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SF 장르의 몇 가지 논점에 관하여 : 문화적 유사성, 문화유물론,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