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번역자의 페르소나: 플라토노프와 비토프의 작품 기법 비교연구 *
이용수 37
- 영문명
- The Trope of the Translator in the Works of Platonov and Bitov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 저자명
- 정보라(Chung, Bora)
- 간행물 정보
- 『러시아학』러시아학 제18호, 111~14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discusses the technique of discourse-forming in the works of Platonov and Bitov. Andrei Platonov in Antisexus and Andrei Bitov in The Teacher of Symmetry both claim to be the translator of their own works. By wearing the mask of a translator the author presents the idea and the discourse itself to the readers as something objective.
Platonov foregrounds the sociopoligical and historical discourse in Antisexus, criticizing capitalism and capitalist societies. Bitov uses the same trope in The Teacher of Symmetry, on the other hand, to focus on historical and cultural legacy and on the literary past.
Platonov and Bitov also use a similar technique of intertextuality, where they present a fictitious original and mention fictional works as though they actually existed. Platonov tends to limit the use of such intertextuality to his early science fiction, while for Bitov this is a major, defining trait. Bitov uses these intertextual links in almost all of his works to draw the readers into literary discourses. By wearing the mask of a translator, Platonov and Bitov show that one of the fundamental functions of literature is to create new discourses and draw the readers into it.
목차
I. 서 론
II. 본론
III.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Стилистический анализ прозы С. Довлатова: на материлале произведния «Компромисс»
- 상징주의의 생예술 이념 (2): 뱌체슬라프 이바노프
- 연극윤리학으로서 스타니슬랍스키의 시스템
- 소비에트 텔레비전과 대중문화의 형성과 전파: 1950~1960년대를 중심으로
- 러시아 표준어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서 표준어의 주도적 주체와 표준어의 사회적 기반의 상관성 (II): 20세기 말 ― 21세기 초 사회정치적 영역의 차용어를 중심으로
- 시베리아 소수민족 1) 부랴트어 연구
- 번역자의 페르소나: 플라토노프와 비토프의 작품 기법 비교연구 *
- 러시아 과학기술 현황과 전망에 대한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을 중심으로
- Узбекский алфавит на латинице: проблемы и решения
- Законодательство о некоммерческих организациях в России: история и современное состояние
- Поэтическая трансформация философии Ф. Ницше в раннем творчестве В. В. Маяковского
- Исследование фоновых знаний и их роли в процессе перевода
- Добруджанский треугольник осенью 1916 г.: столкновение славян в борьбе за Румынию
- 전언 표지로서의 만주어 첨사 sere의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스토리콘텐츠 6집 목차
- 한국 오컬트 드라마 속 자아의 분열과 저항적 주체의 형성 : SBS 드라마 〈악귀〉의 경우
- 문화인류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SF 장르의 몇 가지 논점에 관하여 : 문화적 유사성, 문화유물론,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