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탁금지법상 직무관련성과 원활한 직무수행 및 공무수행에 관하여

이용수 103

영문명
About Relations With Public Duty and Desirable Job/Public Affairs Performance Under the Anti-graft Law - Focusing Especially on Public Appraisers -
발행기관
한국부패방지법학회
저자명
배명호(Bae, Myeong-Ho)
간행물 정보
『부패방지법연구』제1권 제1호, 195~22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청탁금지법」상 불확정 법개념에 해당하는 “직무관련성과 원활한 직무수행 및 공무수행”에 대하여 감정평가사를 중심으로 변호사・세무사 등 다른 전문자격자의 업무영역에서 「청탁금지법」상 이들의 법 해석을 검토하는 것에 있다. 「형법」상 뇌물죄는 직무집행의 공정과 이에 대한 사회의 신뢰에 기하여 직무수행의 불가매수성을 직접적인 보호법익으로 하며, 「청탁금지법」상 “직무관련성”도 직무수행의 공정성을 의심받게 하는 금품등의 수수 금지의 입법취지에 비추어 「형법」상 뇌물죄 및 다른 법령에서와 같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청탁금지법」상 금품 등의 수수행위에 대한 처벌은 뇌물죄와 유사하지만 대가성이 없어 뇌물죄로 처벌되기 어려운 행위들에 대한 처벌로 이해하고 그 행위 자체를 불법으로 정의하여 강력하게 금지하는 것 자체가 입법취지이다. 다음으로 「청탁금지법」은 “원활한 직무수행”에 관하여 정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나, 국민권익위원회의 해석은 사회일반으로부터 직무집행의 공정성을 의심받지 않을 정도로 해석하고, 법에서의 일정한 가액범위내의 음식물・선물의 경우 예외사유의 규정은 원활한 직무수행, 사교・의례・부조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공직자등과 제공자의 관계, 사적 친분관계의 존재 여부, 수수 경위와 시기, 직무관련성의 밀접성 정도, 공정한 직무수행을 저해할 수 있는지 여부 등을 함께 고려하여, 그것도 부과처분 시에 종합적・개별적으로 판단하겠다는 의미이다. 사법심사를 통하여 입법자의 의지가 어떻게 반영될 지는 대법 원판례를 주목해야 되겠지만, 현재는 하급심 판례정도만 보인다. 마지막으로 「청탁금지법」 제11조 제1항은 “공무 수행에 관하여”는 ‘공무수행사인’에 대해서 ‘공직자등’으로 보고, 4 유형으로 열거하고 있다. ‘공무수행사인’이라는 용어는 「청탁금지법」에서 처음 사용된 법률용어인데, 공무수탁사인처럼 법령에 근거하지만, 공무수탁사인과 달리 자신의 이름이 아닌 공무수행사인이 소속된 공공기관의 장의 이름으로 수행하며, 행정주체가 아닌 수족으로서 법적지위를 지닐 뿐이다. 공무수행사인은 단순한 행정대행의 의미는 넘어서지만 그렇다고 공무수탁사인의 정도에 이러지는 못하므로 행정보조인과 공무수탁사인의 중간단계로 볼 여지가 있다. “직무관련성”과 “원활한 직무 수행”에서 감정평가사 등은 행정의 상대방의 지위와 반대로, 공무수행사인으로서 직무는 행정주체의 지위에서 직무관련성이다. 「청탁금지법」의 부정청탁의 구성요건에도 불구하고 헌법상 형벌의 명확성원칙이나 과잉금지의 원칙위반 우려가 있고, 감정평가사 등 그 업무 자체가 공공성이 강하기 때문에 시장경쟁체제로만 운영하기어려운 직무의 특수성이 반영된 개정입법의 필요도 추후 사법부의 판단을 통하여 다시 검토되어야 할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interpretation of ‘relations with public duty and desirable job/public affairs performance’, which is a indefinite legal term, of the “Anti-graft Law” especially in the area of affairs of public appraisers and other professionals such as lawyers and tax accountants. In ‘Criminal Law’, the direct legal benefit of punishing bribery is the fairness of public affairs and based on the society’s trust on this matter, making public performances unbuyable. ‘Duty relevance’ under the Anti-graft Law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same meaning as bribery under Criminal Law or other regulations, in light of the legislative intent of prohibiting the transfer of money and other items that may arouse suspicion to the fairness of public performance. The legislative intent of prohibiting the ‘transfer of money and other items’ under the Anti-graft Law itself is to deem illegal and strongly prohibit actions that are similar to bribery but cannot be punished because they lack reciprocity. The Anti-graft Law does not have defining clauses on ‘desirable job performance’, but the Anti-Corruption & Civil Rights Commission interprets the phrase as being ‘not to be suspected of fairness of job performance from the society in general’. Concerning exceptions for food or gifts within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law, various factors will be judged comprehensively and individually at the time of disposition, such as desirable job perform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fferer and the official concerning social intercourse, formality, and social support, the existence of personal friendship, the background and time of transfer, the closeness of relations with public duty, and whether it will effect job performance. A Supreme Court ruling is expected to reflect the will of the legislators through judicial review, but for now only lower court rulings exist. Article 11 Clause 1 of the Anti-graft Law considers ‘private persons performing public duties’ applied as ‘public official etc.’ and divides them into four groups. The term ‘private persons performing public duties’ was first used in the Anti-graft Law, and it is distinguished from ‘private persons entrusted with public duties’ in that unlike the latter, the former does not perform public duties in their own names, but under the authority of a public institution, and is not a legal public entity but a part of the public institution. ‘Private persons performing public duties’ means more than a simple proxy, but is something less than ‘private persons entrusted with public duties’, thus can be regarded as an intermediate stage between administration assistant and ‘private persons entrusted with public duties’. Concerning relations with public duty, public appraisers stand the legal position of the opposite party, but as ‘private persons performing public duties’ will be a administrative subject. Despite the legal requisites of illegal requests of the Anti-graft Law, the clauses have a possibility of violating the principles of definiteness and excess prohibition, and the duties of public appraisers have a strong public character that forbids them to operate only in a competitive market system. Such difficulties and possibly amendment to the law should be reconsidered by the judicature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청탁금지법 제8조 및 제10조의 “직무관련성”의 의미
Ⅲ. 청탁금지법 제8조 제3항 제2호의 “원활한 직무수행”에 대하여
Ⅳ. 청탁금지법 제11조 제1항의 “공무수행에 관하여”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명호(Bae, Myeong-Ho). (2018).청탁금지법상 직무관련성과 원활한 직무수행 및 공무수행에 관하여. 부패방지법연구, 1 (1), 195-222

MLA

배명호(Bae, Myeong-Ho). "청탁금지법상 직무관련성과 원활한 직무수행 및 공무수행에 관하여." 부패방지법연구, 1.1(2018): 195-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