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국진의 실험미술(1960-1970)

이용수 394

영문명
Kukjin Kang’s experimental art (1960-1970) : From early performance art to action-object art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이은주(Lee Eun joo)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3권, 103~12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1960년대부터 1970년대 펼쳐진 강국진의 실험미술이 해프닝에서 액션-오브제 아트(Action-Object Art)로 변이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예술형식을 현대미술사적인 맥락으로 재평가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강국진은 실험예술 행보를 시작한 1967년 《한국청년작가연립전》에 총 4점의 작업을 출품하고, 총 3편의 퍼포먼스에 참여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첫째, 무엇보다 집단적으로 참여했던 <가두시위>와 <비닐우산과 촛불이 있는 해프닝>에 비해 이론적 조명이 미흡했던 강국진의 개별 퍼포먼스 <색물을 뿜는 비닐주머니> 해프닝을 관객의 유·무 보다는 퍼포머의 매뉴얼이 충실히 작동하는 셀프-퍼포먼스에 초점을 맞춰 분석한다. 이와 더불어 강국진이 참여하거나 주도한 3편의 퍼포먼스의 시간적 추이를 분석하여 한국 최초의 퍼포먼스로 칭해지는 작업들의 순서를 재(再)서술한다. 둘째, 최초의 테크놀로지 아트로 평가되는 강국진의 <시각 1, 2>가 처음 출품된 《종합미술전(綜合美術展)Total Art Exhibition(1968)》을 분석하여 강국진과 ‘한국청년작가연립회(Union Exhibition of Korean Youth Artists)’가 《연립전》이후 펼친 실험예술과 그에 대한 긍지를 재평가한다. 마지막으로 1973년 명동화랑에서 개최된 강국진의 첫 개인전인 《형(形)의 상관(相関)》에 출품된 오브제 작업들을 기존의 해프닝 논의와 연결지어 ‘움직이는 오브제’, ‘이동하는 콜라주’로서 강국진의 ‘오브제’ 작업 개념을 분석한다. 강국진의 오브제 작업은 가벼운 소재를 택해 이동이 용이했으며, 움직이는 오브제들은 작가가 직접 오브제를 들고 행위 할 수 있는 영역만큼만 옮겨졌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현상을 액션-오브제로 명명하며, 작가의 행위가 개입되지 않고 시간이 지날수록 오브제 자체로 ‘과정’을 겪게 되는 작업까지 액션-오브제로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holds meaning in reassessing the progression of Kukjin Kang’s experimental art from happenings to action-object art between the 1960s and 1970s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history. Kukjin Kang began engaging in experimental art from 1967, and in this first year, he exhibited four pieces at the Union Exhibition of Korean Youth Artists and participated in three performances. The primary focus of this research lies in examining the artist’s individual happening performance, Vinyl Tube Spouting Out Watercolor, which has drawn less academic attention than his collective works such as Artists’ Street Demonstration and Happening with Plastic Umbrella and Candlelight, from the perspective of a self-performance discourse in which the performance is essentially driven by the performer’s manual and less affected by the existence of the audience. The research also analyzes the time frame of the three performances, either participated or led by Kang, to redefine the order of Korea’s first set of performance art. Secondly,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the Total Art Exhibition of 1968, where Kang presented The Vision I, II, which are perceived to be Korea’s first technology art (light art), to revisit the pride the artist and Union members took in experimental art and how it was expressed after the Union Exhibition. Lastly, the research looks at the object artworks exhibited at Kang’s first solo show, Interrelation of Forms, held in Myeongdong Gallery in 1973, in the light of a conventional discussion on happenings with an aim to analyze the concept of Kang’s object art that acts as a moving object and moving collage. The materials used for his object works were light and easily movable, and it was confirmed that such moving objects were moved only within the area where the artist can physically carry them and act. The researcher defines this entire course of action as “action-object,” and the idea of action-object encompasses even a process that the object itself goes through with time and without the artist’s intervent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Self Performance, Self-Service :《한국청년작가연립전》의 <색물을 뿜는 비닐주머니>
Ⅲ. Light(Neon) Art: <시각 1, 2>와 《종합미술전(綜合美術展)》
Ⅳ. Action-Object Art : 행위 하는 순간으로 작동하는 오브제 아트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주(Lee Eun joo). (2018).강국진의 실험미술(1960-1970). 조형디자인연구, 21 (3), 103-123

MLA

이은주(Lee Eun joo). "강국진의 실험미술(1960-1970)." 조형디자인연구, 21.3(2018): 103-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