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에 대한 고찰:

이용수 832

영문명
A Study on the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Focusing on the Viewpoint of Gyeokmongyogyeol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박만성(Park, Man-Sung)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32권 제3호, 25~4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선언과 관련하여 [격몽요결]의 관점에서 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먼저,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제기되는 교육 담론을 두 가지로 살펴본다. 첫 번째는 디지털-피지컬 통합의 세계와 개인의 문제이다. 디지털-피지컬 통합으로 만들어진 가상의 세계에서는 관계의 진정성, 가상세계의 중독, 자기 성찰 능력의 상실과 같은 문제 점들이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는 사회-산업계의 논리와 교육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와 관련된 많은 연구물에서는 교육의 역할을 수단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문제점이 있다. [격몽요결]은 이와 같은 문제점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교육을 본질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교육의 역할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완성하기 위한 보조적인 수단이 아니라, 4차 산업혁명에서 파생되는 제품들이 오히려 사람다움의 교육에 활용되어야 한다. 둘째, 사람다움의 교육은 디지털-피지컬 통합의 시대에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입지, 혁구습, 지신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근거로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하더라도 사람다움의 교육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가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irection of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Gyeokmongyogyeol with regard to the declar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discussion, I look at two possible educational discourse that could take plac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I deal with the personal problems that could arise in the world of digital-physical integration. It will arise problems such as the authenticity of relationships, the addiction of virtual worlds, and the loss of self-reflection ability in the world of digital-physical integration. Second, I deal with the problem of education derived from the logic of society and industr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le of education is approached from the view point of being able to satisfy the needs of society and industry in recent research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Gyeokmongyogyeol can draw implications in relation to such problems. First, Gyeokmongyogyeol approaches education from an essential point of view. The role of education is not an auxiliary means to complete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Second, Saramdaum Education is expected to solv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era of digital-physical integration. Based on this discussion, I can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Even thoug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come, Saramdaum Education is still an important issue.

목차

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선언
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제기되는 교육 담론
Ⅲ. 사람다운 사람이 되는 교육
Ⅳ. 전통과 미래의 변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만성(Park, Man-Sung). (2018).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에 대한 고찰:. 교육사상연구, 32 (3), 25-46

MLA

박만성(Park, Man-Sung).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에 대한 고찰:." 교육사상연구, 32.3(2018): 25-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