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小有亭題詠』 詩의 장소성 연구

이용수 93

영문명
A Study on the Placeness of the Poems in 『Soyujeong Jeyeong』
발행기관
동남어문학회
저자명
김성은(Kim Sung Eun)
간행물 정보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45집, 49~7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小有亭題詠』을 알리고, 『소유정제영』에 수록된 漢詩에 나타나는 장소성과 그 의미를 알아보려는 데 있다. 『소유정제영』은 ‘小有亭’을 건립한 松潭 蔡應麟(1529~1584)의 <題詠本韻>과 그 本韻(詩)에 次韻한 방문객들의 詩가 필사되어 있는 ‘題詠錄’이다. 『소유정제영』에 차운시를 남긴 이들의 면면은 크게 관료와 대구ㆍ영남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한 유학자의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관직자들이 차운시로 드러낸 ‘소유정’에 대한 장소성은 공적 유대에 의한 장소성으로 볼 수 있다. 대구ㆍ영남 학맥의 중심인물이 처음 건립한 장소인 ‘소유정’을 방문하여 차운시를 남김으로써, 공적 유대를 강화하려는 마음을 담은 것이다. 관직자들은 차운시에서 경치에 대한 칭송뿐만 아니라 주인에 대한 칭송과 환대를 받았다는 점까지 모두 드러내어 ‘소유정’의 위상을 높이고 경영자에 대한 예의까지 표현하려 했다. 대구ㆍ영남지방 유학자들의 시에서 드러나는 장소성은 사적 유대에서 비롯한 장소성으로 볼 수 있다. 대구ㆍ영남지방 유학자들에게 ‘소유정’은 ‘채응린을 잇는 학맥 혹은 그 일원’이라는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장소였다. 그런 까닭에 승경에 대한 무조건적 칭송을 드러내기보다는 오히려 스승의 가르침을 좇는다는 뜻을 담았다. ‘소유정’의 건립자 채응린의 시에 차운한 시를 남기는 일은 학맥의 일원임을 스스로도 확인하고 타자들을 향하여도 드러내 보이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let people know about 『Soyujeong Jeyeong』 and to study the placeness and its meaning appeared in the Chinese poems recorded in 『Soyujeong Jeyeong』. 『Soyujeong Jeyeong』 is an archive of hand-written copies of poems from , which was published by Songdam Chae Eungnin (1529~1584) who constructed the pavilion ‘Soyujeong’, and poems composed by visitors who followed original rhymes. The visitor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governmental officials and local Confucian scholars in Daegu and Yeongnam area. The placeness appeared in poems of governmental officials can be regarded as placeness by official relationship. The poems show intention to strengthen official relationship with local influential people by exposing the hospitality they had got during their visit to ‘Soyujeong’ which was constructed by a leading scholar in the area. The placeness appeared in poems of local Confucian scholars can be regarded as placeness by personal relationship. The pavilion ‘Soyujeong’ was a place that could confirm the identity of local scholars as members of scholastic lineage succeeding to Chae Eungnin. Composition of poems using rhymes from poems of Chae Eungnin who constructed ‘Soyujeong’ was an action to confirm their own identity as members of the scholastic lineage for themselves as well as declaring it to other people.

목차

【초록】
1. 서론
2. ‘소유정’의 위상과 『小有亭題詠』
3. 『소유정제영』 차운시에 나타나는 장소성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은(Kim Sung Eun). (2018).『小有亭題詠』 詩의 장소성 연구. 동남어문논집, 45 , 49-75

MLA

김성은(Kim Sung Eun). "『小有亭題詠』 詩의 장소성 연구." 동남어문논집, 45.(2018): 49-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