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20-30년대 조선천주교회사 관련 통사 및 순교자 전기 연구
이용수 140
- 영문명
- The Study on Korean Catholic History Book and Martyr Biography in the 1920-30s
- 발행기관
-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 저자명
- 김규성(Kim Gyuseong)
- 간행물 정보
- 『누리와 말씀』제42호, 219~255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발간된 조선천주교회사 통사 및 순교자 전기를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이 책들의 배경과 의미 및 교회사적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로네가 1920년대에 쓴 순교자 전기는 1925년 시복된 1838-1846년 프랑스와 조선의 순교자들(Martyrs Français et Coréens, 1838-1846/beatifies en 1925)과 첫 조선인 사제 김 안드레아(Le Premier prêtre Coréen) 그리고 외방전교
회의 순교 복자(Les Bienheureux martyrs de la Société des Missions étrangères)이다.
비슷한 시기에 나온 조선 천주교회사 통사는 조선의 천주교(Le Catholicisme en Corée)와 조선천주공교회약사이다. 이 중 전자는 프랑스어본이고, 후자는 한글본이다.
프랑스어로 나온 조선천주교회사 관련 서적들은 프랑스 교회 신자들의 선교열 고취와 재복음화의 의도를 담고 있다. 조선의 천주교는 조선 교회 발전의 세 가지 장애 요인으로 조상 제사 문제, 서구의 물질주의, 개신교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이겨내는 굳은 신앙심을 가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한편 조선천주공교회약사는 한글로 간행된 첫 조선천주교회사 개설서라는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순교자들의 영광을 부각시킴으로써 조선 천주교 신자들에게 자부심을 심어주었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 교회사 관련 서적들은 박해 시대 이후의 교회사까지 정리하였으며, 순교자들의 이야기를 체계적으로 서술하였다. 하지만 개선주의적 특징을 드러내었으며, 민감한 사건에 대해 축소하거나 숨겼다는 한계도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study Korean Catholic History Book and Martyr Biography published in the 1920s and 1930s. This researche deal with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se books and the church s private influence.
These martyr biographies writing by A. Launay in the 1920s are as follows. They are Martyrs Français et Coréens, 1838-1846/beatifies en 1925 , Le Premier prêtre Coréen and Les Bienheureux martyrs de la Société
des Missions étrangères. At the same time, Korean Catholic Histroy books are as follows. They are Le Catholicisme en Corée and Korean Catholic Short History. Of these, the former is french and the latter is korean.
The books on the Catholic Church in the french language contain the intent of the missionary rehabilitation of the church believers in France. Le Catholicisme en Corée presented ancestor sacrifice, materialism, and
protestantism as three obstacles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Church.
And it emphasized the need to have a firm belief in overcoming this. On the other hand, Korean Catholic Short History has the value of being the first Korean Catholic History book published in the Korean alphabet. In
addition, it has the significance of giving pride to Korean Catholics by highlighting the glory of martyrs.
목차
머리말
Ⅰ. 로네가 저술한 조선 천주교 순교자 전기와 그 의미
1.1. 1925년 시복된 1838-1846년 프랑스와 조선의 순교자들
1.2. 첫 조선인 사제 김 안드레아
1.3. 외방전교회의 순교 복자
Ⅱ. 조선 천주교회 통사 발간과 그 의의
2.1. 조선의 천주교
2.2. 조선천주공교회약사
맺음말
*)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본 새 ‘로마 미사 경본’의 기여와 발전적 제언
- ‘목자로서의 사랑’을 구심점으로 한 신학교의 양성계획
- 키에르케고어의 그리스도인 되기
- ‘신자들의 합의’(Consensus Fidelium)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복자 앙트완느 슈브리에 신부의 삶과 작품 속에 나타난 ‘따름’에 대하여
- 회칙 「찬미받으소서」(Laudato si )의 사회교리적 차원
- 1920-30년대 조선천주교회사 관련 통사 및 순교자 전기 연구
- 토마스 아퀴나스의 예술론에 따른 미(美)의 개념
- 회칙 「찬미받으소서」의 역사적 기원과 의의
- 누리와 말씀 제42호 목차
- ‘고독한 신앙고백’과 교회에 대한 소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종교교육학연구> 30년 연구 동향 분석
- 신약성경의 “이웃”(περίοικος, πλησίον, γείτων)의 용례와 생태학적 의미로 확장된 이웃사랑의 가르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