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정폭력 피해 아동발달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936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roup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Violence Victim Children
발행기관
한국복지실천학회
저자명
고미향(Mi hyang, Go)
간행물 정보
『한국복지실천학회지』제9권 제1호, 242~284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정폭력은 가족구성원간의 권위, 위계에 의해 폭력의 정당성이 쉽게 인정되며, 반복적이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특수성이 있다. 가정폭력의 피해아동은 가정에서 가장 취약한 위치에 있는 주 피해자로서 미래의 삶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가정폭력은 우울, 불안, 사회적 위축, 신체적 증상과 감은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심리적 고통이 주요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정서적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은 아동의 인성형성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다. 가정폭력은 주로 남성이 폭력행동을 먼저 시작하면서 발생하는데, 2016년 여성가족부 가정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부부폭력이 일어나게 된 주된 이유는 여성과 남성, 부부폭력 피해와 가해 경험 모두에서 ‘성격차이’와 ‘경제적인 문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자녀 학대는 지난 1년간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방임의 순으로 나타나 유형별 학대행위 중 하나라도 자녀에게 행사했음이 조사되었다. 여성긴급전화 1366이나 상담소 및 보호시설 등 지원기관에 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주된 이유는 ‘부부간에 알아서 해결할 일인 것 같아서’, ‘폭력이 심각하지 않다고 생각해서’로 나타나 가정폭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적극적인 서비스 개입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특히,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개입이 미비한 원인은 부모들이 자녀들을 소유물로 간주하여 체벌에 대해 합리화하는 것이며, 아동학대에 대한 ‘가족비밀’, 아동 스스로 자신을 주장할 수 없는 취약성으로 인해 가정폭력의 심각성으로 인한 사회적 개입이 용이하지 못하는 점이다. 이처럼 가정폭력은 사회폭력의 반영이기도 하지만 그 자녀에 있어서는 폭력에 대한 학습의 장으로 영향을 미쳐서 성인이 된 후에 많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아동기의 가정폭력 경험은 학업과 교사 및 또래관계, 낮은 자아존중감, 불안, 우울, 분노, 중독의 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와 관련이 있어 그에 따른 예방적 차원의 서비스 개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의 피해아동을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지역사회와 학교에서 가정폭력에 노출된 피해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정서와 행동 그리고 건전한 성장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실시에서 유용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re are specificities to domestic violence. That is easily recognized as legitimate due to authority and hierarchy among family members, and that takes place in a repeated and sustained way. Children who suffer from family violence are major victims who are most vulnerable in their families, and this experience exercises a fatal influence on their future lives. Domestic violence is likely to provoke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social withdrawal or physic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pain also is one of major symptoms of emotional issues that are triggered by it. All the problems might take a huge toll on children s character building. Family violence occurs mainly when men start to show violent behaviors. According to a survey of domestic violence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2016, the most dominant causes of marital violence are differences in personality and economic problems irrespective of whether they were husbands or wives or whether they were victims or assailants. The most common child abuse over the past year was emotional abuse, followed by physical abuse and non-intervention. At least one out of the different types of abuse behaviors was used in these families. The major reason that they didn t ask support organizations for help including women s emergency hotline center 1366, counseling centers or shelters was that they thought it should be resolved by themselves and their spouses, and another major reason was that they didn t consider it to be serious enough. Therefore it s required to raise social awareness of domestic violence, and more active service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Specifically, there isn t adequate intervention in child abuse, because parents regard their children as one of their possessions and rationalize corporal punishment on the ground of it. In addition, child abuse is viewed as a family secret, and children aren t yet old enough to be self- assertive. For these reasons, it s not easy to offer social intervention in spite of the gravity of domestic violence. Family violence is a reflection of social violence, and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 child to learn violence, which may cause a lot of problems in adulthood. As family-violence experience in childhood is linked to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like academic difficulty, poo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s, low self-esteem, anxiety, depression, anger and addiction, preventive service intervention is desperately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how each local community and school should conduct a program to facilitate the sound emotional and behavioral growth and development of victim children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가정폭력 경험 아동발달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미향(Mi hyang, Go). (2018).가정폭력 피해 아동발달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복지실천학회지, 9 (1), 242-284

MLA

고미향(Mi hyang, Go). "가정폭력 피해 아동발달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복지실천학회지, 9.1(2018): 242-2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