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전공만족도가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73

영문명
A study of the effect on a social work practicum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subject to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 of social welfare
발행기관
한국복지실천학회
저자명
강영숙(Young Sook, Kang)
간행물 정보
『한국복지실천학회지』제9권 제1호, 30~54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과 전공만족이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실습의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실습 경험은 1회가 15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퍼바이저 직위는 팀장이 가장 많이(35.3%) 행하고 있어 시설에서 현장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비전 교육주기는 대부분 매일 등의 규칙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사회복지전공자의 현장실습 참여정도가 높았다. 둘째, 전공선택시의 만족정도에 따라 현재 전공만족도 및 정체성에 집단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장실습 경험 횟수 및 실습 충실도는 집단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도, 실습기관 직원수, 전공선택 부모만족도, 실습기관 오리엔테이션 실시 시점, 학교 실습수업 만족도, 전공선택 본인만족도, 수퍼바이저 학력, 실습기관 선정시 의사반영, 실습기관 유형, 전공교과 수학 정도가 포함된 모형은 유의수준 .05에서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81.9%가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the aim of examining the effect of how the practice of the experience at the social work practicum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subject to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 of social welfar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Experience at the social work practicum showed that the first class was most by 158 persons, and the position of the supervisor was acted most(35.3%) by the team leader showing that the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study at the actual site in the facility. Cycle of the education of the supervision has been conducted by regular education such as daily education in most cases whil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the person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t the social work practicum showed higher. 2) Currently there was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major subject and identity by group according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at the time of deciding the major subject, but times of experience of the social work practicum and the degree of faith in the practice showed to have no difference. 3) Models includ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major subject, number of the steps of the organization of the practic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parents with the selection of the major subject, point of the time of the implementation in doing the orientation of the organization practic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al study in the school,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person with the selection of the major subject, academic history of supervisor, reflection of the will at the time of choosing the organization of the practice, type of the organization of the practice, and the degree of learning the major subject explain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 of social welfare in .05 of the level of attention while 81.9% is explained by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in typ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영숙(Young Sook, Kang). (2018).사회복지현장실습과 전공만족도가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9 (1), 30-54

MLA

강영숙(Young Sook, Kang).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전공만족도가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9.1(2018): 30-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