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강도 저항성운동이 근력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9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muscle strength and anioxidant enzymes for low 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 발행기관
-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
- 저자명
- 최규완(Chio Gyu Wan) 박태열(Park Tae Yeol)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제5권 제1호, 119~12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he physique, muscular strength, antioxidative stress for middle intensity resistance(weight training) trai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with 10 adult males. The weight training program of 8 stations performed on 3 circuits, 3day/week.
The subjects of exercise intensity exercised at 55~60% of 1-RM, executing as many repetition as possible in 30 sec, followed by 15sec rest as the subject moved to the rest station the training program.
The result were as follow;
1. Muscle strength increased was significantly in post middle intensity weight training.
2. MDA, catalase and vitamin-E decreased was significantly in post middle intensity weight training.
3. Phospholipid and CK decreased was significantly in post middle intensity weight training.
It was concluded that weight training of 55~60%HRmax intensity is a good general conditioning activity, that more exercise participator hoped to take part in this paper method.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골격근 pH 및 고에너지 인(P) 대사
- 에어로빅운동이 림프구에 미치는 영향
- 운동처방, 식이처방, 행동수정요법을 병행한 비만처치 프로그램후 신체조성, 체격, 체력, 식이의 변화
- 신체적 특성, 근력, 그리고 골밀도간의 관계
- 트레드밀 운동시 속도와 경사도에 따른 운동 역학적 변인의 특성 비교
- 중강도 저항성운동이 근력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 직장내 운동시설을 규칙적으로 이용한 사람들의 체력 변인 비교
- 농구선수의 생리주기에 따른 Zink, Copper, Iron 및 전해질 성분화 변화
- 중량운동과 칼슘보충처치가 중년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 경락 마사지와 규칙적 신체 활동이 신체 조성 및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