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골격근 pH 및 고에너지 인(P) 대사
이용수 13
- 영문명
- Skeletal muscle pH and high energy phosphate metabolism in athletes and sedentary men
- 발행기관
-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
- 저자명
- 장지훈(Jang Jee Hun) 성기홍(Sung Ki Hong) 김병태(Kim Byung Tae) 김명일(Kim Myung Ill) 정구철(Jung Koo Chul) 이동수(Lee Dong Soo) 김창근(Kim Chang Keun)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제5권 제1호, 107~11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ntramuscular pH and the high energy phosphate metabolism in the skeletal muscle between athletes (n=11) and sedentary men (n=11).
Exercise protocols were consisted of continuous isometric contractions of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MVC) 1% and MVC 5%. ³¹P NMR spectroscopy was used for analyzing intramuscular pH and Pi/PCr during exercise.
In both groups, intramuscular pH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time course. The lowest intramuscular pH in athletes was observed at 28 min after MVC 1% exercise,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edentary men (p<.05), and the reduction rate of pH was about 2.6%. The same results were obtained with MVC 5% exercise.
The ratio of Pi to PCr (Pi/PCr)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time course in both groups. The highest ratio of Pi/PCr in athletes was observed at 24 min with MVC 1% exercise,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edentary men (p<.05). The ratio of Pi/PCr at all-out with MVC 5% exercise was lower than that of resting, which was different from sedentary men.
In conclusion, intramuscular pH muscle in athletes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ratio of Pi/PCr in athlet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edentary men (p<.05).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골격근 pH 및 고에너지 인(P) 대사
- 에어로빅운동이 림프구에 미치는 영향
- 운동처방, 식이처방, 행동수정요법을 병행한 비만처치 프로그램후 신체조성, 체격, 체력, 식이의 변화
- 신체적 특성, 근력, 그리고 골밀도간의 관계
- 트레드밀 운동시 속도와 경사도에 따른 운동 역학적 변인의 특성 비교
- 중강도 저항성운동이 근력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 직장내 운동시설을 규칙적으로 이용한 사람들의 체력 변인 비교
- 농구선수의 생리주기에 따른 Zink, Copper, Iron 및 전해질 성분화 변화
- 중량운동과 칼슘보충처치가 중년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 경락 마사지와 규칙적 신체 활동이 신체 조성 및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