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時代 尙州 邑城의 位相과 構造

이용수 108

영문명
The Structure and Status of Sangju Town-wall in Choseon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韓基汶(Han, Ki-Moon)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57집, 399~42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상주 읍성 관련 자료를 종합 검토하여 그 연혁과 지방제도상 위상, 그리고 읍성 내 제 公署의 내력과 배치를 정리하여 조선시기 상주의 도시 위상과 그 기능을 고찰하였다. 상주 읍성은 1380년 왜구 침입 후 1381년에 쌓기 시작하여 1385년에 완성하였다. 이 이후 읍성이 임난 직전인 1591년에 왜적에 대한 대비로 증축되었으며 壕塹시설도 하였다. 1912년 일제의 도시화 계획으로 철거되었다. 조선전기 경상도에 축성된 읍성은 29개처가 있었는데, 둘레로 보아 그 중 상주 읍성이 좌도 영성, 우도 영성, 慶州읍성, 晉州읍성 다음으로 큰 규모였다. 이는 경상도에서 경주, 진주, 상주가 고려이래 계수관급인 대읍의 위상을 가진 것을 보여 준다. 지방제도의 연변에 따른 邑格의 변화에 따라 보면, 태종 8년부터 尙州가 경상감사의 本營이 된 것으로 정리된다. 상주가 본영의 지위를 상실한 것은 선조 26년 성주로 감영이 이동하면서이다. 그러나 고려이래 조선 초부터 세조 때 까지 계수관이라는 대읍의 위상을 유지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읍성의 사대문은 사방에서 상주 읍성에 이르는 관문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남문과 북문은 통행량이 많아 守門廳과 守廳이 있었다. 정상우 제작 「상주주성도」에는 남문과 서문, 북문과 서문 사이에 각각 문루 없는 문이 있는데, 이는 四大門을 보완한 통행문으로 추측된다. 읍성내의 시설은 公署시설이 중심이었다. 상주 읍성이 대읍임을 보여 주는 시설은 전패를 모신 객사, 주창, 대동창 등의 창고와 풍영루, 응신루, 진남루 등 각종 樓臺이다. 조선전기 객사는 감사의 延命禮, 望闕禮, 望賀禮, 望哭禮, 誕日箋文禮 등 의례가 행하여진 가장 중요한 곳이었다. 각종 창고는 계수관 또는 행영으로서 賑恤,進上品등의 보관을 위한 것으로 중요하였다. 각 종 누 역시 매월하는 朔膳進上監封을 위시한 다양한 進上監封장소였고, 대내외적 使臣을 접빈하는 곳으로서 상주 위상에 맞는 기능을 하였다. 조선 후기에 감사의 유영 기능은 없어졌지만, 진상품 집결지로서,대내외 사신관이 到界하여 머무는 곳으로서 의미는 유지하였기에 여러 시설이 갖추어졌고 城內圖도 작성되었다.

영문 초록

We explore the change and status and structure of Sangju Town-wall on data. The town-wall was built because of Japanese pirate in 1381. It was destructured for urban plan in 1912 of Japan reign. From late Koryo Sangju was big town Kaesugwan(界首官). Between Taejong 8 to Seonjo 26 it had been Kyongsanggamyeong(慶尙監營). In the wall are Kaeksa(客舍) for Yeonmyongryae(延命禮) of province governor ritual, storehouses of Juchang(州倉), Daedongchang(大同倉) for relief and offer-upping goods, and Pungyeongroo(風詠樓), Eungsinroo(凝神樓), Jinnamroo(鎭南樓) as floorstand(樓臺) for welcoming. These show the prestige as grand town of Sangju. In late Choseon Sangjukept goods-collecting and guest-welcoming. On Sanjujuseongdo(尙州州城圖), Sangjueupseongdo(尙州邑城圖), Yeojidoseo(輿地圖書), 1923 picture are Sangju’s official buildings and town-wall sketch in Choseon.

목차

Ⅰ. 머리말
Ⅱ. 邑城의 沿革과 位相
Ⅲ. 邑城內公署의 配置와 機能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韓基汶(Han, Ki-Moon). (2014).朝鮮時代 尙州 邑城의 位相과 構造. 민족문화논총, 57 , 399-427

MLA

韓基汶(Han, Ki-Moon). "朝鮮時代 尙州 邑城의 位相과 構造." 민족문화논총, 57.(2014): 399-4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