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어 문법서의 기저구조 관련 기술의 변천과 의의

이용수 60

영문명
The Transition and Meaning of the Description related to underlying Structures in Korean Grammars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박종갑(BakJongGap)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59집, 367~40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몇몇의 국어 문법서-김규식의 『朝鮮文法』, 주시경의 『國語文法』, 김두봉의 『조선말본』, 최현배의 『우리말본』-에 등장하는 기저구조 관련 문법기술의 변천 양상과 그러한 변천이 갖는 문법학사적 의의에 대해 구명하고자 한 것이다.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논구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문법서에서 기저구조와 관련하여 국어 문장분석에 이용된 예문들의 적절성 문제와 각 문법서에 따라 이뤄진 그러한 적절성의 변천 내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용된 예문들은 통사 및 의미적인 성격의 예문들이 섞여 있다가 통사적인 성격의 예문으로 집중되는 방향으로 변천되었다. 둘째, 각 문법서의 문장론에서 상정되고 있는 기저구조의 성격과 각 문법서에 따른 그러한 성격의 변천 내용에 대해 고찰했는데, 기저구조의 성격은 통사 및 의미구조가 함께 논의되다가 통사구조로 단일화되는 방향으로 변천되었다. 셋째, 각 문법서의 문장론에서 국어 문장의 통사 및 의미의 기저구조적 특징에 대한 분석이 차지하는 역할과 비중의 정도성 문제와 각 문법서에 따른 그러한 정도성의 변천 내용에 대해 고찰한 결과, 그러한 역할과 비중의 정도는 점차 약화되는 방향으로 변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각 문법서에 따라 이뤄지는 기저구조와 관련된 인식과 실제적 문법기술의 변천이 국어 문법학사에서 가지는 의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초기 국어 문법서의 문장론에서 중시되었고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던 기저구조 관련 인식이 새로운 학문적 관점과 방법의 확립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약화된 것은 참 아쉬운 일이다. 그러나 연구대상을 표면적인 통사구조 중심으로 명확히 한정하고 문법을 언어구조 안에 존재하는 규칙으로 제한하여 국어학의 과학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변천한 것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paper investigates the transitional aspects of the grammatical description related to underlying structures and the meaning of grammatical history that the transition has in several Korean grammars―Kim, Gyu-sik’s 『Choseonmunbbeop』?, Ju, Si-gyeong’s ?『Gukeomunbbeop』?, Kim, Do-bong’s 『Choseonmalbon』, Choi, Hyeon-bae’s ?『Woorimalbon』. The paper examines several subjects mentioned below for this. First, Are the examples, employed in sentential analyses related to underlying structures, appropriate in exploring structural features in each grammar? And how did they transmit in each grammar? Secondly, what is the nature of underlying structures introduced in syntax of each grammar? And how did they transmit in each grammar? Thirdly, in syntax of each grammar, how the analyses on the underlying structural features of syntax and meaning were treated in any role and weight? And how did they transmit in each grammar? Fourthly, how much did the recognition of underlying structures contribute for the new analyses of sentential structures in Korean? And how did they transmit in each grammar? Fifthly, what meaning do the recognition related to underlying structures employed in each grammar and the transition of actual grammatical description have as Korean grammatical history?

목차

Ⅰ. 들어가기
Ⅱ. 국어 문법서의 기저구조 관련 기술의 변천
Ⅲ. 국어 문법서의 기저구조 관련 기술 변천의 의의
Ⅳ.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갑(BakJongGap). (2015).국어 문법서의 기저구조 관련 기술의 변천과 의의. 민족문화논총, 59 , 367-401

MLA

박종갑(BakJongGap). "국어 문법서의 기저구조 관련 기술의 변천과 의의." 민족문화논총, 59.(2015): 367-4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