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 원종의 摩利山塹城 親醮와 壇君

이용수 85

영문명
King Wonjong of Goryeo s Participation in the Ritual Sacrificial Ceremony at Mt. Mari Chamseong and Its Relation to Tangun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성환(GimSeongHwan)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59집, 3~3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원종 5년(1264) 5월 7일 원나라의 입조 요구에 고려 조정에서는 국왕의 親朝를 막기 위한 대책 마련에 골몰하였다. 마리산참성에서의 親醮를 중심으로 삼랑성 등에서의 가궐 건립 등을 통한 延基之策이 적극 검토되었다. 6월 백승현은 참성단 초제 설행과 원종의 휘를 周康王의 휘인 釗로 교체할 것을 건의했다. 그는 아울러 대일왕이나 대불정오성도량의 설행을 건의했는데, 이것은 삼랑성 혈구사 마리산 등을 중심으로 하는 행사였다. 특히 야외에서 설행된 국왕의 친초는 이때의 마리산참성 초제가 ≪고려사≫에서 독보적인 것이었다. 그것은 원나라의 입조 요구에 대한 대처방안 중에서 거의 유일한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원종의 마리산참성에서의 친초는 고려시대 제석신앙과 일정부분 연계되어 있었다. 고종 때 외제석원의 天皇堂에서 병첩을 기원하는 초제가 설행되고 있음은 양자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고유의 天神관념이 제석신앙과 융합되어 전하고 있고, 초제 역시 천신을 모시는 행사여서 두 행사는 서로 교섭했을 것이다. 그렇다고 참성단에서 원종의 제천이 그 유래가 壇君에서 출발했음을 의식하고 진행되었는지 확실하지 않다. 다만 분명한 것은 단군과 관련한 참성단과 삼랑성 전승에 기초하여 이때의 연기비보책이 설행되었다는 것이다. 백승현이 원종에게 참성단 친초를 건의하면서 명분으로 삼은 “三韓이 변하여 震旦이 되어 큰 나라들이 와서 조회할 것”이라는 것은 고려 사회에서 역사계승인식의 대변전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고려 전기부터 작용하고 있던 삼한 중심의 역사인식을 고조선[전조선]으로 확대 진전시키려는 의도를 간파할 수 있다. 그 결과 20여년 후에는 단군을 國祖로 설정하여 이후 국가들을 일정한 체계 속에서 정리한 ≪삼국유사≫와 ≪제왕운기≫가 편찬되었다. ≪삼국유사≫에서는 고조선의 시조 단군을 ‘壇君’으로 기록하고 있다. ‘壇君’은 신정제도 정교일치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고, 壇君神壇樹 등은 천신족을 표방한 지배세력이 神市를 중심으로 제사와 축제를 함께 거행하던 神政 형태의 고조선 사회를 엿볼 수 있는 자료로 파악되고 있다. 이것은 원종의 친초와 관련하여 일정 부분 추측할 수 있다. 즉 마리산참성에서 제천을 주관하던 원종을 壇君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일연은 江都에 머물면서 마리산참성의 초제 설행을 보았거나, 알고 있을 것이 분명하다. 그가 단군의 명칭에 ‘壇君’을 사용한 것은 마리산참성 초제에서 고려 국왕 원종의 모습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추측된다.

영문 초록

In the fifth year of King Wonjong(1264), the emperor immersed himself within the Goryeo organization in an attempt to block a demand from the Yuan dynasty for a diplomatic mission. Plans for developing the country were examined; these plans included the construction of a temporary palace such as Samrangsong( 三郞城 ) centered around the king’s direct participation in the ritual sacrifice at Mt. Mari’s Chamseong altar( 塹城壇 ). In June, Baek Seung-hyeon planned this participation and also planned the exchange in naming the deceased from King Wonjong to Soe( 釗 ), the descendent of King Kang, Zhou dynasty( 周康王 ). Together with this, he additionally planned to utilize the Daeil-wang( 大日王 ) or Daebuljeong-oseong-doryang( 大佛頂五星 道場 ), Kabbalah prayer events; these would be centered around Samrangseong, Sin-nidong( 神泥洞 ), Hyeolgusa( 穴口寺 ), Marisan( 摩利山 ), and other locations. This was a unique incident of the ceremony of the heavens at Mt. Mari’s Chamseong altar, especially as it involved an outdoor ceremony and the direct participation of the king. It was seen as almost a singular event among the countermeasures to the Yuan dynasty’s demand. King Wonjong’s direct participation in the Chamseong ceremony had a connection to the faith of the harvest deity within the Goryeo dynasty. To understand this connection, one should als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faith and the heavenly ceremony performed at the pagoda in Ue-jeseuk-won( 外帝釋院 ) to pray for military victory during Gojong’s reign. The concept of a deity located in heaven was merged with the Harvest God faith and spread; the heavenly ceremony likewise dealt with a god in heaven and the two events seemed to have been combined. That said, it is not clear whether King Wonjong’s participation in the ceremony was carried out with conscious feeling that the sacrificial ceremony held at Chamseong altar was a direct continuation of any ritual conducted by Tangun. What is clear, however, is that special policies involving national development were implemented at this time, and they were based upon tales of events at the Chamseong altar and Samrangseong which were subsequently made to relate to Tangun. Baek Seung-hyeon suggested to King Wonjong that the king directly participate in the festival at Chamseong altar, using as justification the phrase that “Samhan would change to Jindan and large nations would come to meet,” a portent of the profound transformation in the conception of the nation’s historical succession in store for Goryeo society. The statement can be read as an intention to expand and develop this historical consciousness, centered as it was on Samhan, from Goryeo’s early period back to Ancient Joseon and even early into pre-Joseon times. One must examine the fact that Samguk-yusa and Jewang-ungi were compiled within a system of nations that had been arranged in an ordered framework some twenty years previously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angun as the country’s founder. In Samguk-yusa, Ancient Joseon’s founder, Tangun, is printed as ‘Tangun( 壇 君 ),’ which reflects the belief that politics and religion are inseparable. By reading extant documents, one can recognize the presence in Ancient Korean society of a theocracy which conducted ceremonies together with religious festivals while professing itself to be of the Cheonshin people( 天神族 ) and using the concept of Tangun in conjunction with such sacred locations as the sacred tree of Shin-tan( 神壇樹 ) and locating its center of power in Shinshi( 神 市 ). This all had a relation to King Wonjong’s participation in the Chamseong ceremony and can be inferred to be part of the king’s direct presence, and furthermore in this context, King Wonjong, having supervised the sacrificial ceremony at Mt. Mari’s Chamseong, can be directly compared to Tangun.

목차

Ⅰ. 머리말
Ⅱ. 몽고의 입조 요구와 원종의 親朝
Ⅲ. 摩利山塹城醮禮설행의 목적
Ⅳ. 원종의 摩利山塹城親醮와 壇君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환(GimSeongHwan). (2015).고려 원종의 摩利山塹城 親醮와 壇君. 민족문화논총, 59 , 3-36

MLA

김성환(GimSeongHwan). "고려 원종의 摩利山塹城 親醮와 壇君." 민족문화논총, 59.(2015): 3-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