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국의 형이상학과 식민지 공공성의 재구성

이용수 95

영문명
Metaphysics of Empire and Reorganization of Public Nature of Colony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이혜진(LEE HYEJIN)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60집, 187~21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한국의 식민지 경험과 해방 이후의 근대 패러다임을 연속적으로 이해하는 관점을 채택하여, 식민지 시기에서부터 해방을 거쳐 현재에 이른 ‘세계사’ 담론에 내포된 이율배반을 추적해본 것이다. 식민지 말기에 등장한 제국일본의 ‘세계사적 입장’이란 유럽의 일원론적 ‘세계사’에 대항하는 복수형의 세계사 구상이다. 즉 메이지 유신으로 근대화에 성공한 일본이 ‘세계사’에 편입되었다는 것은 그 자체로 세계 시스템의 주요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획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일본 제국주의 이념으로서의 ‘동아/대동아’는 ‘세계사적 위치’로 승격될 수 있고, 동시에 일본의 ‘세계사의 입장’은 ‘근대의 초극’으로 대표되는 서구의 몰락 이후 도래해야 할 세계사의 권력 재편에 대응되는 제국 담론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근대 초극론’에 내재되어 있는 이율배반이 현재의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논리에서 그대로 부활하고 있다는 점이다. 가령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구조 속에서 ‘동아시아 공동체’라는 경제적 지역통합 구상은 과거 제국 일본이 식민지를 포섭하면서 상상적으로 구상했던 ‘동아’가 오늘날 ‘동아시아’로 재탄생함으로써 미국의 패권에 대항하는 새로운 권력 재편을 꾀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이때 식민지 조선은 일본의 협조를 이끌어내기 위해 협력 속에 균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개입했지만, 이제 국제정치의 주요 플레이어가 된 한국은 새롭게 구상되고 있는 동아시아 공동체의 이념에 어떻게든 응답해야 할 위치에 있다는 점에서 이것은 오늘날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중요한 ‘현대적 과제’가 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dopted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the colony experience of South Korea and modern paradigm after the liberation and examined antinomy found in the world history from the colonial era until the liberation (defeat of Japan). The ‘world history viewpoint’ of the Imperialist Japan that appeared at the end of the colonialism is a plural world history concept that opposes the unitary ‘world history’ of Europe. In other words, Japan’s incorporation into the ‘world history’ after its successful modernization with the Meiji Restoration meant that Japan acquired its status as a major member of the world system. Therefore, ‘East Asia/ Great Asia’ as an ideology of the Japanese Empire that included its colonies was elevated to the ‘world-historical position’ and, in that sense, ‘world history viewpoint’ was Japan’s request to reorganize the power of ‘world history’ that had to appear after collapse of the West, which was represented by ‘overcoming modernism.’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antinomy found in the theory of overcoming modernism’ of the Japanese Empire seems to have been revived in the contemporary neoliberal globalization. Particularly, in neoliberal globalization, the economic regionalism of ‘East Asian community’ recreated the ‘East Asia’ that existed in Japan’s imaginative concept while colonizing other countries during the Japanese Empire, into ‘East Asia’ and is now aiming to reorganize the power system against the US hegemony. Although the colonized Josun cooperated with the Japanese Empire with rupture, now, as a major player in the international politics, South Korea must respond to the concept of East Asian community and this has become an important ‘contemporary challenge’ of the South Korean society.

목차

1. 문제의 소재: ‘세계사’의 문제와 현대의 과제
2. 유럽과 일본: 이념으로서의 세계사와 ‘세계사적 입장’
3. ‘세계사’의 전유방식: 방법적 혁신으로서의 역사철학
4. ‘세계사’의 조선적 전유와 식민지 공공성
5. 세계사의 구조와 새로운 공공 공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진(LEE HYEJIN). (2015).제국의 형이상학과 식민지 공공성의 재구성. 민족문화논총, 60 , 187-215

MLA

이혜진(LEE HYEJIN). "제국의 형이상학과 식민지 공공성의 재구성." 민족문화논총, 60.(2015): 187-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