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도시 근교지역의 민간신앙의 전승 양상

이용수 79

영문명
Transmission of Village Folk Religion in Dalseong-gun County, Daegu Metropolitan City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이창언(Lee, Chang Un)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63집, 103~12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민간신앙 가운데 마을신앙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 생활양식의 복원과 그 의의를 논하는 것에서, 의례의 역사적 변천에서 지역성이 창출되는 과정과 이 과정에 작용하는 집단 사이의 관계 변화를 통해, 지역의 사회문화적 변동을 규명하는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나아가 현대사회에서 전통의례 지속의 의미 규명과 전통의 재창출 및 보존에 관한 논의를 이끌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마을신앙의 전승 기반이 약화되는 상황에서 시급한 과제이며, 대도시에 인접하여 현 대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 지역에서의 상황은 더욱 시급하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은 오랫동안 대구분지와 팔공산 인근 지역에서 흔히 행했던 ‘천왕내림굿’ 방식의 마을신앙이 활발하게 전승된 곳이다. 그러나 대구시에 인접하여 다수의 대규모 산업단지가 조성되는 등 도시화와 산업화가 크게 진전됨으로 인해, 달성군 지역에서도 마을신앙의 중단과 간소화의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마을신앙 전승이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제의를 지속하고자 하는 지역민들의 의지는 제의의 구조와 절차의 개방화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마을신앙의 개방화 양상은 마을에 한정된 행사를 벗어나 지역의 행사를 지향하거나, 공적 기관의 지원을 확보하는 데에 이르고 있다. 대도시에 인접한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에서 마을신앙이 전승되는 양상은 생활공동체의 상징재로서 마을신앙이 지녔던 전통적인 의미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생활공동체의 사회적 경계의 기제이며 결속의 상징재로 작용하던 마을신앙은 시대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문화자원으로서의 의미도 더하게 되었다. 이런 점에서 달성군 지역에서 천왕내림굿 방식의 제의를 지속하는 유일한 마을의 사례와 재인론에 기인하여 제의를 재개하려는 마을의 사례는 제의의 전승을 위해, 공적 기관으로부터의 지원을 포함하여 다각적인 보존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Village folk religion had been studied for restoring the traditional way of life and discussing its significance. Research trends has been changed to investigate socio-cultural change of the area through research on the changing phases of the rituals on the base of the historical perspectives. Recently, the significance of transmitting village folk religion in modern society, recreation of tradition and preservation village folk religion become new research subjects in this research domain under the sharply weakening situation of the ritual transmission base. Most villages in Dalseong-gun county had transmitted a special kind of village folk religion called Cheonwanggut for several centuries. Cheonwanggut is a kind of the shaman style ritual with lots of members for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band and shaman style ritual. This kind of ritual has sharply been abolished or simplified with the influence of urbanization and industralizat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Under the situation of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alization, most villages in Dalseong-gun county have difficulty in transmitting the rituals. Some village has changed the ritual structure open and simplified the process of the rituals for maintaining village folk religion. These changes reflect that the significance of rituals as the symbolic mechanism for community solidarity in traditional societyhas add a new meaning as cultural resources. Under the this situation, public supports needed for preservation of the shaman style ritual including financial assistance and designation of cultural asset and etc.

목차

Ⅰ. 머리말
Ⅱ. 달성군 지역의 도시화와 산업화
Ⅲ. 달성군 지역 마을신앙의 현황
Ⅳ. 달성군 지역 마을신앙의 전승 양상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언(Lee, Chang Un). (2016).대도시 근교지역의 민간신앙의 전승 양상. 민족문화논총, 63 , 103-129

MLA

이창언(Lee, Chang Un). "대도시 근교지역의 민간신앙의 전승 양상." 민족문화논총, 63.(2016): 103-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