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왕자녀의 ‘혼례용품’과 그 상징성에 관한 일고찰

이용수 114

영문명
Marriage Procedure and the Symbolism of ‘Ritual Supplies’ for Royal Offspring in Late Joseon Korea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지영(Kim Jiyoung)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65집, 205~23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글에서는 왕실혼례가 1749년 『국혼정례』로 정례화 되기 이전 현전하는 왕자녀의 가례등록을 중심으로 왕실 혼례용품에 표현된 상징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왕자녀의 혼례를 치루는 과정에서 각각의 의례절차마다 등장하는 상징성을 강하게 띠는 ‘의례용품’ 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왕실 특유의 격식을 갖추어 특별한 방식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세밀하게 묘사하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실제 치러졌던 왕자녀의 혼인을 우선『국조오례의』「왕자혼례」, 「왕녀하가의」 의 내용과 비교하고, 왕실혼례의 ‘이상적 규정’이 실제 개별적인 ‘의례적 실천’ 과정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만들어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왕실혼례 연구에서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왕자녀의 혼례용품을 중심으로 혼례를 통해 기대하는 부부화합, 다산, 백년해로와 같은 인간 행복의 조건과 문화적 가치들이 조선후기 왕실사람들의 의례현장 속에서 상징성을 띠게 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왕실혼례에서 ‘사물’에 의미가 구상화되는 과정과 구현방식을 주목함으로써 왕실혼례에 나타난 사물과 의미의 관계성에 관한 논의를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is about the symbolic meanings of ‘wedding supplies’ for royal offspring in late Joseon Korea. There are some documents related to my study, which are called Garyedeungrok. Government finally articulated the list of wedding supplies in detail on the book, Gukhonjeongrye. The wedding ceremony for royal offspring proceeded through several stages. And each stage required some supplies for its own purpose. What I wanted to know is how the supplies were created and given from royal family to partner’s family who were of nobility. I took two actual royal wedding ceremonies for an example and compared to each other. Each example is shown in the book Gukjo-orye-ui. By comparing two examples, I investigated the way that the ‘ideal rules’ were gradually established through ‘practicing wedding ceremonies’. I focused on the royal wedding supplies that many other studies haven’t paid much attention to. What I wanted to peek by focusing them is the way that some conditions for human being’s happiness like ‘unity of married couple’, ‘fertility’ and ‘being man and wife till parted by death’ had symbolic meanings through actual ceremonies. By paying attention to the process in reification which means that ‘things’ soaked up ‘meanings’, I tried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royal wedding ceremonies before 18thcentury and interpret what were the meanings.

목차

Ⅰ. 서론
Ⅱ. 조선후기 왕자녀 ‘가례등록’의 현황과 자료적 특징
Ⅲ. 왕자녀 가례 본의식 이전 준비단계
Ⅳ. 왕자녀의 혼례절차 속 ‘의례용품’에 표현된 상징성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영(Kim Jiyoung). (2017).조선후기 왕자녀의 ‘혼례용품’과 그 상징성에 관한 일고찰. 민족문화논총, 65 , 205-238

MLA

김지영(Kim Jiyoung). "조선후기 왕자녀의 ‘혼례용품’과 그 상징성에 관한 일고찰." 민족문화논총, 65.(2017): 205-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