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말 식민지기 신사임당의 재현과 그 의미

이용수 84

영문명
Aspects of of Shin Saimdang(申師任堂) s Representation and its Meanings from the latter era of the Chosun Dynasty to Japanese Colonial Era - Centering on Discourse of Motherhood and Talent -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박지현(Park JI Hyun)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65집, 239~26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말 식민지기 신사임당의 모성과 재능을 둘러싼 재현의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여성의 재능과 모성 이데올로기와의 갈등을 알아보고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말 국가 위기 속에서 자녀를 국민으로 교육시키는 책임이 어머니에게 부여되면서, 신사임당은 자식 교육을 훌륭하게 시킬 수 있는 재덕을 갖춘 어머니로 새롭게 재현되었다. 이것은 조선시대의 여성관과 매우 다른 것으로, 여성의 재능이 모성의 한 부분으로 포섭되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식민지기에는 신사임당의 예술적 재능과 함께 학문적 재능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도 이어졌다. 하지만 여성의 재능은 좋은 어머니의 역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될 때만 인정받을 수 있었던 것이었고, 여성은 여전히 가족 내의 조력자의 위치에 머물고 있었다. 하지만 전시체제하에서 신사임당은 자신의 재능을 드러내기보다는 말없이 가족을 돌보는 전통적인 모습으로 또 다시 변화되었다. 이처럼 모성 이데올로기의 시대적 변화에 따라 신사임당의 재능이 이용되기도 하고, 부적절한 것으로 취급되거나 은폐되기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신사임당에 대한 재현이 담론적 차원만 아니라 실제 지역적 차원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그녀의 고향인 강릉 지역을 주목했다. 신사임당이 1920~30년대 강릉 지역의 정체성과 역사를 대표하는 역사 인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음을 밝혔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강릉고적보존회의 역할이 컸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tended to examine a female’s conflict between motherhood and talent by tracing the aspects of changes in representing Shin Saimdang(申師任堂) from the latter era of the Chosun Dynasty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reproduction of Shin Saimdang within the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s of Gangneung(강릉) area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history. As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ng children to become exemplary citizens was given to mothers amidst the national crisis at the latter era of Chosun Dynasty, Shin Saimdang was reproduced as a mother having the talent and virtue to give children excellent education. This is noteworthy as it is very different from the view of womanhood in Chosun Dynasty and as a female’s talent was included in a part of motherhood. The Japanese Colonial Era also saw positive evaluations on Shin Saimdang’s academic talent along with her artistic talent. However, a female’s talent could be recognized only when it was expected to help the role of a good mother, and females faced the limitation of remaining at the status of an assistant within their family. In addition, Shin Saimdang was reproduced into a traditional image of quietly taking care of family instead of exhibiting her talent under the wartime situation. This shows that Shin Saimdang’s talent is considered inappropriate or is conceal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maternal instinct ideology over time. Moreover, the study examined the reproduction aspects of Shin Saimdang from the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s of her region. Reproducing her is deeply related with accepting Yulgok(율곡) Yi-I(이이) in the modern era, and Gangneung Gojeok Bojonhoi(강릉고적보존회) played a huge role in making Shin Saimdang a historical representing the regional identity and history. This started from an introspection and reflection that existing studies on Shin Saimdang are discussed only within the frame of women’s history. It is hoped that the discussion on Shin Saimdang expands beyond discourse research to intellectual and regional history from now on.

목차

Ⅰ. 머리말
Ⅱ. 한말 새로운 모성에의 요구
Ⅲ. 모성과 재능의 길항관계
Ⅵ. 식민지기 강릉고적보존회와 신사임당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현(Park JI Hyun). (2017).한말 식민지기 신사임당의 재현과 그 의미. 민족문화논총, 65 , 239-263

MLA

박지현(Park JI Hyun). "한말 식민지기 신사임당의 재현과 그 의미." 민족문화논총, 65.(2017): 239-2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