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의 학업지연 안정성 검증: 단기 종단적 접근

이용수 407

영문명
Testing the Stability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its Predictor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박상현(Sanghyun Park) 손원숙(Wonsook Sohn)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31권 제1호, 55~7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지연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고 예방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학업지연의 종단적 안정성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TSO(trait-state-occasion) 모형(Cole, Martin, & Steiger, 2005)을 적용하여 수동지연과 능동지연의 특성과 상태 수준을 파악하였다. 또한 가정(부모의 심리적 통제), 교실(교실숙달목표), 개인(자존감, 성취도)적 측면에서 수동지연과 능동지연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투입하여 그 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G도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 5-6학년, 380명(남: 185명, 여: 195명)을 대상으로 학업지연 및 예측요인을 4개월 간, 한 달 간격으로 5회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수동지연과 능동지연의 상태는 특성과 상황 요인 모두에 영향을 받으며 상황 요인보다 특성 요인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능동지연이 수동지연에 비해 안정적인 구인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학업지연의 특성에 학생의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살펴보면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수동지연의 특성에 정적인 영향을, 교실 숙달목표, 자존감, 사전성취도는 수동지연과 능동지연의 특성 모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자존감은 수동과 능동지연을 구분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예측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의 학업지연의 부정적 결과를 줄이기 위한 방안에 대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tends the existing literature to short-term longitudinal research setting by attempting to test stability of academic procrastination over time. Specifically this study used a latent Trait-State-Occasion model(TSO)(Cole, Martin, & Steiger, 2005) to evaluate the short-term longitudinal stability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cross five-waves, four months for a sample of 380 primary school students. Results revealed existence of time-invariant trait factor and a set of time-varying occasion factors. Also the trait factors for passive and active procrastination accounted for 59% and 63% on average, respective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rait and occasion factors for both passive and active procrastination influence the current state, and the trait factor accounted for more variance than did the occasion factor. Third, the psychological contro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assive procrastination. On the other hand, classroom mastery goals, self-esteem and prior achievement had negative effects both on passive and active procrastination. Especially self-esteem had a great negative effect on passive as compared to active procrastination.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상현(Sanghyun Park),손원숙(Wonsook Sohn). (2018).초등학생의 학업지연 안정성 검증: 단기 종단적 접근. 교육평가연구, 31 (1), 55-79

MLA

박상현(Sanghyun Park),손원숙(Wonsook Sohn). "초등학생의 학업지연 안정성 검증: 단기 종단적 접근." 교육평가연구, 31.1(2018): 55-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