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11년조선총독부의종교정책과 조선내 종교계 동향

이용수 126

영문명
Utilizing the Primary Source Religions of Shrines and Temples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저자명
제점숙(Je, jum-suk)
간행물 정보
『일본연구』第29輯, 207~23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일제의 식민지 종교정책이 정착되기 위한 과도기적 양상을「사사종교(社寺宗敎)」라는 조선총독부 자료를 중심으로 종교정책과 조선과 일본 종교계의 동향에 중점을 두고 고찰하고 있다. 지금까지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관련된 연구는 조선의 종교를 장악하기 위한 규제, 탄압이라는 측면에서 전개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종교정책이 식민지 종교를 통치하기 위한 법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식민지 조선의 미분화된 종교적 상황과 일본 내지의 종교에 대한 인식이 충돌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과 모순이 야기되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조선총독부, 해당 업무에 종사하는 직원, 나아가 종교 교단은 물론 현지 종교 종사자들 간에는, 제도화된 종교정책의 인식 결여로 한국병합 직후의 종교정책은 과도기적 양상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시행착오와 불협화음 속에 식민지 조선의 종교정책은 정착되어 갔던 것이다. 이른바 이글에서는 이 시기 종교정책이 한국 종교 내지는 일본 종교에 끼친 영향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닌, 종교정책 관련 법규가 정착되기 전의 종교현상에 주목하여「사사종교」속에 나타난 1911년의 조선과 일본 종교계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ransitional aspects of the Japanese Empire’s policies towards colonial religions, focusing on its policy towards religions and the trend of religious world in Joseon and Japan and centering on primary sour-ces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Religions of Shrines and Temples . Studies conducted previously concerning the religious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have been developed in terms of the regulations and resulting suppression for gaining control of the religions of Joseon. However, examining the various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caus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undifferentiated religious situations in colonial Joseon and the awareness of religions in inland Japan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se religious policies were transformed into laws regulat-ing colonial religions is necessary. Among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mployees in relevant jobs, religious orders and local religious workers, the religious policies implemented immediately after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came to show transitional aspects due to a lack of recognition of the institutionalized religious policy. From trial and er-ror and discords, the religious policy in colonial Joseon was finalized. This study does not focus on the impact of these policies on the religions of Korea or Japan, but examines the religious phenomena before legislation related to those policies was passed. To do so, it studies the aspects of the religious world of Korea and Japan as represented in 1911 in Religions of Shrines and Temples

목차

Ⅰ. 머리말
Ⅱ. 일본, 조선 불교계의 동향
Ⅲ. 신사, 교파신도의 동향
Ⅳ. 기독교의 동향
Ⅴ. 그 외 종교 동향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제점숙(Je, jum-suk). (2018).1911년조선총독부의종교정책과 조선내 종교계 동향. 일본연구, 29 , 207-230

MLA

제점숙(Je, jum-suk). "1911년조선총독부의종교정책과 조선내 종교계 동향." 일본연구, 29.(2018): 207-2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