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임진왜란기 약포 정탁의 군사 활동과 전쟁기록

이용수 299

영문명
Jeong Tak’s Military Activities and Records during the Imjin War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정해은(Chung Hae Eun)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22호, 1~3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정탁이 임진왜란기에 펼친 군사 활동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정탁은 조선의 자강과 결전(決戰)을 강조하면서 조선 정부가 적극적으로 일본군 격퇴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임진왜란기 정탁의 활약 중에서 두드러진 부분은 분조(分朝)의 참여다. 정탁은 분조에 처음부터 끝까지 참여해 왕세자의 스승이자 조언자로서 군무를 수행하면서 일본군을 몰아내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정탁은 전쟁을 함께 헤쳐 나갈 무장을 천거하고 발탁하는 일에 적극적이었다. 정탁이 무장의 발굴과 천거에 진력한 것은 조선의 자강이 이들로부터 나온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탁은 무장들이 위기에 처할 때면 적극 나서서 변호했다. 대표적으로 1597년 2월 충무공 이순신이 부산 왜영(倭營) 소화(消火) 사건이 빌미가 되어 투옥되자 구명 활동을 적극 펼친 점을 꼽을 수 있다. 또 정탁은 새로운 전법을 담은 『기효신서절요(紀效新書節要)』의 서문을 썼는데, 정탁이 전쟁 중 새로운 전법 수용에 적극적인 태도를 견지했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도 정탁은 본인의 경험을 각종 기록으로 남겨 후손들에게 임진왜란을 잊지 않게 했으며, 전쟁을 이겨낸 주체는 조선 사람들이었음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Jeong Tak’s overall military involvement during the Imjin War. Jeong Tak claimed that the Joseon government should aggressively drive out the Japanese force, stressing the idea of Joseon’s jagang (self-empowerment) and the necessity of a decisive battle. One of his most notable exploits was his involvement in bunjo(the provisional royal court of Joseon established during the Imjin War). He participated in bunjo government from start to finish, assisting the crown prince as his teacher and advisor, and struggled to repel the Japanese force. He was committed to find and recommend military commanders to fight together through the war because he believed that Joseon’s self-empowerment come from them. Consequently, Jeong Tak actively defended military officers whenever they were in precarious situations. One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was the campaign to save Admiral Yi Sun-sin’s life after Yi was imprisoned in February 1597 for the fire incident at the Japanese naval base at Busan. The preface by Jeongtak to Gihyosinseojeolyo, an abridged version of a treatise on new military tactics, reveals that Jeong Tak maintained an enthusiastic attitude towards adopting new military tactics during wartime. Most of all, Jeong Tak recorded his experiences in writings, preserving the memory of the war for future generations. He also stressed that it was primarily the people of Joseon who won the war.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임진왜란기 군사 활동
Ⅲ. 어왜 전법의 연구와 실천
Ⅳ. 전쟁에 대한 기억과 기록들
Ⅴ.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해은(Chung Hae Eun). (2014).임진왜란기 약포 정탁의 군사 활동과 전쟁기록. 이순신연구논총, (22), 1-35

MLA

정해은(Chung Hae Eun). "임진왜란기 약포 정탁의 군사 활동과 전쟁기록." 이순신연구논총, .22(2014): 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