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임진왜란 시기 전라좌수군의 전투구성원과 전투 수행

이용수 326

영문명
The man-power of the Joseon’s Left Navy of Jella - Province Forces and their leading the battles during Imjin War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제장명(Je Jang Myeong)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21호, 1~55쪽, 전체 5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9,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임진왜란 수군 승리의 주역인 전라좌수군의 승리요인을 밝히기 위한 한 방법으로 전투구성원과 전투수행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소홀히 다룬 전투구성원에는 어떤 신분과 직임을 가진 군사들이 활동하였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아울러 전투 수행 절차에 대해서는 어떤 전술을 구사하였으며, 방어체제는 어떻게 유지되었는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수군의 경우 다양한 신분계층이 참여하여 각자의 임무를 분담하여 수행하였다. 임진왜란을 맞이하여 정규군 외에 잡색군(雜色軍)들도 동원되어 전투에 참여하였다. 먼저 중간 계층의 경우 진무(鎭撫)는 군관보다는 아래 계층이지만, 한 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간부 계층으로 간주할 수 있다. 갑사(甲士)는 조선 전기 직업군인의 일종이었지만, 16세기 후반에 들어 명예나 국가의 물질적 배려는 없어지는 등 위상이 저하된 상태로 참전하였다. 승리의 실질적인 주역은 하위 계층이었다. 육군의 주 구성원인 정병(正兵)이 참여하고 있다는 것은 육군과 수군의 독자성을 부여했던 진관체제가 와해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보인(保人)은 실제 전투에는 참가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군사력의 확보 차원에서 유사시 보인의 참전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었다. 토병(土兵)의 경우도 왜구들의 침입이 예상됨에 따라 남방지역에도 배치된 이후 연해 방어에 일조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포작(鮑作)은 수군 하부 계층의 주 구성원이었음을 알 수 있다. 전투 현장에서 포작인들의 역할은 해로 사정에 밝아서 적선을 수색하거나 토벌할 때 수로 안내 역할, 소규모 전선을 잘 부리기 때문에 배의 운용에도 기여를 했으며, 적 출현 사실을 원해에서 알아내어 수군 진영에 신속하게 전달해주는 역할, 실제 전투에 참전하여 싸웠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노비(奴婢)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군역을 지지 않았지만 임진왜란이라는 대규모의 전란을 맞이하여 관노(官奴)ㆍ사노(私奴)ㆍ사노(寺奴)를 망라하여 모두 참전하고 있었다. 이들 하위계층은 당시 전선의 편제에 고르게 보직된 가운데 주로 포수(砲手), 사부(射夫), 격군(格軍))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밖에 전선의 편제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손실된 수군 구성원들의 충원 방안으로 항왜(降倭)와 승도(僧徒)도 수군에 동원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수군은 실제 전투 시 주로 『五衛陣法』과 『制勝方略』의 분군법을 활용하여 전투편제를 형성한 가운데 전투를 수행하였다. 특히 1594년 3월에 있었던 제2차 당항포해전에서는 오위진법과 제승방략제의 세분화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판옥선과 귀선이 개발되고 다양한 화포가 전선에 장착된 임진왜란 중에는 수군 전술 또한 다양한 형태로 구사되었다. 적 지휘선에 대한 집중 공격과 화포의 명중률 제고를 위한 진형을 형성하는 것은 당시 수군 전술의 핵심이었다. 이런 가운데 제승방략제의 분군법에 기초한 수군의 방어체제는 효과를 보면서 일본군을 물리치는 데 기여할 수 있었다. 즉 겨우 전력을 구비한 전라도 수군이 경상도에 부방(赴防)하는 방식으로 수군이 운용되었다. 특히 전라좌수군이 주축이 되어 3도의 수군이 연합하여 일본군의 해상 서진을 차단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on the man-power and the battle flows to clear out the main role toward victories of the Left Navy Jella-Province Forces which did the most crucial role during the Imjin War. This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statues of the troops which means each solider’s work position and social statue which had not been handled importantly on previous studies. Also, I have thoroughly mentioned the strategies on the battle procedures and how the army system went on. Naval troops were from various social statues and they did their own role which was taken. First, the people in middle level, Jin-Moo(鎭撫) was a lower level of than military officers, however, they could be considered as a official class. Gap-Sa (甲士)was to be a kind of work soldiers in the early of Joseon period, and it start diminishing in public compensations by the dynasty in the later 16th century, and they were ask to participate to the battles in deteriorations of the social reputation. The very practical cause of the victories of the naval forces could be resulted due to the modest statue of the society. The lowest figures were the vanguard of the victories. The regular soldiers were in the Army troops and took the roles on the battles along breaking down the Jin-Gwan system. Another army group, Bo-In (保人)was not to be infiltrated to the battles, but in cases to figure out the battles temporarily, they were ask to take roles in the battles by the government systematically. Toh-Byeong(土兵) did a role to protect the sea shores in Southern Provinces as Japanese troops were about to invading the areas. The members of Toh-Byeong, Poh-Jak (鮑作)people were the lowest group even among the naval troops. The Poh-Jak people’s main role on the battles was to guide the sea route and they lead the practical use of the ships by driving tiny warships skillfully since they were kin on reading the sea ways. When the enemy appeared, they could immediately inform to the naval garrison. It helped the rapid process of preparing the battle of the garrisons. Of course, they fought and faced against the enemies as well. The Slavery statues, No-Bi, was out of the military services. The kinds of No-Bi (奴婢) group were Gwan-No(官奴), who belonged to the offices, Sa-No(私奴), who belonged to personnels, and the other Sa-No(寺奴) were the assets of temples, and all did their role which as much as they could do for the country by facing the battles. The modest figures of people were broadly positioned for the battles, mainly as gunners(砲手), shooters of bows(射夫), and rowers(格軍). Miscellaneously, monk groups and captives and surrendered Japanese soldier groups were ready for backing up the man-power. Naval Forces during the war kindly used the military strategy orders, 『O-wee Jin-bop』 『五衛陣法』and 『Je Seong Bang Ryak』 『制勝方略』for the battle formations. It can be seriously found those two formations were activated departmentally on the Secound Danghang-Poh Sea Battle on March of 1594. Pan-ok Seon, a house on the deck warship and Geobuk Seon, Turtle warship were dramatically developed and many gunpowder weapons such the cannons were settled into the warships, and troops showed various tactics. Spreading out the intended battle pictures according to the formations and implemented was to the progressive attack the commender ship of the enemy and the accuracy of the cannons were the core of the Joseon Naval Troops strategies. The formation, Je Seong Bang Ryak was cleary worked to the Joseon’s Naval Forces and the naval troops could repel the enemy. The allied forces of the three provinces leading by Left Jella Naval Forces could cut off the enemy’s advancing toward the west.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조선 수군의 직제와 동원체제의 변천
Ⅲ. 전라좌수군의 전투 구성원
Ⅳ. 전투수행 시 편성과 전술구사 형태
Ⅴ. 맺음말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제장명(Je Jang Myeong). (2014).임진왜란 시기 전라좌수군의 전투구성원과 전투 수행. 이순신연구논총, (21), 1-55

MLA

제장명(Je Jang Myeong). "임진왜란 시기 전라좌수군의 전투구성원과 전투 수행." 이순신연구논총, .21(2014): 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