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수군의 무기 보유 양상과 그 특징

이용수 596

영문명
Study on Weapon System of the Joseon’s Navy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김병륜(Kim Byong Lyuen)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21호, 1~53쪽, 전체 5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9,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朝鮮) 수군(水軍)은 17~19세기에 걸쳐 판옥선(板屋船)에 탑재하는 거치형 대형 화약무기로 지자(地字)ㆍ현자(玄字)ㆍ황자(黃子)ㆍ별황자(別黃子) 총통(銃筒)과 불랑기(佛狼機), 백자총통(百子銃筒) 등을 주로 보유했다. 그 중에서도 운용비율 측면에서 가장 비중이 높았던 것은 현자총통과 불랑기였다. 현자총통은 천ㆍ지자 총통보다 제조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적으면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해 임진왜란이후 19세기까지 수군의 주력 화포로 사용됐다. 불랑기도 모포(母砲)와 자포(子砲)를 분리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장전시간을 줄일 수 있고, 명중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장점 때문에 현자총통과 함께 수군의 주력 화포로 자리매김했던 것으로 보인다. 손으로 들고 사격할 수 있는 휴대형 화약무기에서는 조총(鳥銃)의 존재가 두드러졌다. 17세기 후반의 『나주목 중기(羅州牧 重記)』나 1783년 무렵의 『순천읍지』, 1796년 작성된 『김경혁 위도첨사 해유문서』 에서는 판옥선(板屋船)의 포수(砲手) 1명당 조총 1자루를 보급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조총 보급률이 확인된다. 다만, 판옥선의 포수 직책은 원래 조총을 포함한 다양한 화약무기를 운용할 수 있는 요원을 의미할 뿐, 조총만 전담해서 운용할 목적으로 편성한 요원은 아니었던 만큼 모든 수군진에서 포수 1명당 조총 1자루를 보유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 지방군 육군과 수군은 무기나 장비에서 일정한 차이가 있었다. 수군은 육군에 비해 갑주(甲冑)의 보급률이 높아 사부(射夫)와 화포수(火砲手), 포수(砲手) 등 판옥선 전투요원 전원에게 갑주 1부씩 지급할 수 있는 수준을 유지했다. 또한 수군은 조총 같은 휴대형 화약무기 뿐 아니라 대포에 해당하는 거치형 대형 화약무기도 꾸준히 운용했다. 조선 후기 지방군 육군이 조총 등 휴대형 화약무기 위주로 보유한 것과 다른 점이다. 이는 육군과 수군의 전투방식 차이에 따라 무기 운용에서도 차이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이며, 조선 조정이 육군과 수군의 무기와 장비 보유 분야에서 전투 환경에 맞는 각 군 고유의 특성을 인정했다는 측면에서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es on what weapon did late Joseon’s Naval Forces equipped with after the Imjin War are comparatively insufficient. This research broadens the scope into the whole late Joseon period to understand how the aspects of weapon equipment changed through time. Additionally it attempted to find the difference in the aspects of weapon possession of Army and Navy. Haeyu document(解由文書), junggi(重記), and Uepji(邑誌), which is the town chronicles, are comprehensively utilized to investigate the weapon possession aspects in Jeollado and Gyeongsangdo where the main forces of the late Joseon’s Naval Forces are located. The results of the approach was that the late Joseon’s Naval Forces were equipped with gunpowder weapons including various Korean cannons, Jijachongtong(地字銃筒), Hyeonjachongtong(玄字銃筒), Hwangjachongtong(黃字銃筒), Folangji(佛郞機), Baekjachongtong(百子銃筒) which is old days shot gun. The main weapon they had were Folangji and Hyunjachongtong. Hyunjachongtong has smaller costs than Cheonjachongtong(天字銃筒) or Jijachongtong(地字銃筒 )but has comparatively high performance. So it looks like it was the main cannon from the time of Imjin War already until 19th century. Folangji had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 that cartridge and the supporting part can be separated which reduced the loading time, and it had comparatively better accuracy rate. Therefore it had become the main cannon of the late Joseon’s Naval Forces. Posu(砲手:gunner) in the vessel was originally capable of dealing overall gunpowder weapons but they specialized in Jochong(鳥銃)as time passed by. That’s why there were 24 Jochongs in each vessel to provide one gun to each gunner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This high Jochong distribution rate is shown in various documents which show the circumstances of the late 18th century Jeollado region naval forces. But it looks as if the guns were not sufficiently provided to all naval forces. When we take a look into 『Kyoungsangdoeupji(慶尙道邑誌)』 which shows the overall circumstances of 19th century, there were enough bows and stationary gunpowder weapons to distribute to archers and cannon shooters but Jochong was not enough to distribute to all gunners. This may results from the awareness that gunners were capable of using generally all other gunpowder weapons so they can use other weapons. The armor distribution rate of the late Joseon’s Naval Forces was higher than Army. The armor distribution rate was shown remarkably higher in Sooncheon(順天 )in Jeollado and Sacheon(泗川), Ungcheon(熊川) in Gyeongangdo where the naval forces are formed with army. Each of the garrison has 46~68 pieces of armors which can be distributed all combat personnel in the Panok Ship including gunners, cannon shooters(火砲手), and archers(射夫). Also, the late Josen’s Army tends to have portable guns like Jochong, but the Naval Forces constantly used gun powder weapons that can be referred as cannon. This is the interesting case which shows that the weapons deal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bat style of the Army and Naval Forces. This proves meaningful that Joseon acknowledg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military force in terms of the weapons they need depending on the combat environment.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조선 후기 수군 군기(軍器) 관련 사료
Ⅲ. 조선 후기 수군의 무기 보유 양상
Ⅳ. 수군과 지방군 육군의 보유 무기ㆍ장비 비교
Ⅴ.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병륜(Kim Byong Lyuen). (2014).조선 후기 수군의 무기 보유 양상과 그 특징. 이순신연구논총, (21), 1-53

MLA

김병륜(Kim Byong Lyuen). "조선 후기 수군의 무기 보유 양상과 그 특징." 이순신연구논총, .21(2014): 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