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기설을 둘러싼 쟁점에 관한 고찰 -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656

영문명
A Consideration On The Issue Surrounding the Paṭiccasamuppāda -Focusing on Early Buddhism-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이은정(Lee, Eun Jung)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48輯, 41~7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불교는 연기 정형구에 근거하여, 연기설을 상의상관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주류적 경향이다. 김동화 이래로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연기상의설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초기불교에 한해서는잘 못 이해된 것이다. 상의상관적 해석은 사물일반에 대한 언급으로 서의 성격이 강하며 사물에 대한 법칙성으로, 인과원리에 대한 설명 으로 확대되기도 한다. 그러나 필자는 이러한 이해가 연기 정형구와 십이연기를 구분하여 접근한 결과로 파악하며, 정신적 조건화의 과정이라는 연기 본연의 의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결과로 이해한 다. 연기의 가르침은 일반 사물에 대한 언급이라기보다는 정신적 조건화의 과정에만 연관되어 있다. 니까야에 나타나는 연기 정형구는 십이연기의 지분들과 분리 되어 있지 않다. idappaccayatā는 연기와 동의어로 나타나며, idaṃ이 가리킨 것은 바로 12지분에 속하는 각각의 지분들이다. 연기의 특성은 곧 십이연기의 특성이며, 십이연기는 정신적 조건화에 의한 괴로 움의 발생과 소멸의 과정에만 관여되어 있다. 물론 연기의 지분이 12 가지로 고정적인 것이 아니기에 니까야에서는 12지분 연기에서부터 2 지분 연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다양한 연기의 가르침 또한 정신적 조건화의 과정으로서 괴로움의 발생과 소멸에 관여한다. 그렇다면, 괴로움이란 무엇인가? 필자가 파악하건데 괴로움을 연기의 가르침과 관련시킬 경우, 그 괴로움은 재생적 괴로움과 실존적 괴로움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필자는 연기에 대한 삼세양중인과적 접근 방식은 재생에 대한 괴로움을 해명한다는 점에 동의한다. 그러나 8지, 5지, 4지 등 다양한 지분들로 구성된 연기의 가르침은 재생의 괴로움을 규명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실존적 괴로움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필자의 이해에 따르면, 니까야에서 괴로움으로 언급되는 ‘견해’, ‘오온’, ‘느낌’, ‘갈애’ 등은 실존적 괴로움에 관련된다. 실존적 괴로움의 원인으로서 견해의 발생은 8지 연기로, 오온에 대한 집착으로 인한 괴로움의 발생은 5지 연기로, 느낌으로 인한 괴로움의 발생은 4 지 연기로, 갈애로 인한 괴로움의 발생은 5지 연기로 드러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기는 정신적 조건화에 의한 괴로움의 발생과 소멸과 정을 규명한다. 다양한 지분들의 연기 가르침은 재생의 괴로움과 더불어 현재의 삶에 당면한 실존적 괴로움에서도 벗어날 수 있는 실천 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In Korean Buddhism, it is a main trend to interpret mutual dependence[相依相關] relation as the dependent-origination on the basis of dependent-origination formula. Since Kim Dong-Hwa, most researchers have adopted the mutual dependence. However, this is not well understood refer to early Buddhism. Mutual dependence interpretation is strong in character as a reference to a general things, and is about a law on things and sometimes extended as an explanation of causal principle. However, I apprehend that this understanding as a result of separating the dependent-origination formula and 12-links dependent-origination, and as a result of not grasping the significance of the dependent-origination as a process of mental conditioning. The teaching of dependent-origination is related only about the process of mental conditioning rather than reference to general things. The dependent-origination formula that appears in Nikāya is not separated from the 12-links. idappaccayatā is synonymous with dependent-origination, and idaṃ refers to each of the 12-links. The characteristic of dependent-origination is namely the characteristic of the 12-links dependent-origination, and the 12-links dependent-origination is concerned only with the process of the occurre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Of course, since the number 12 is not fixed, it varies from the 12-links to the 2-links dependent-origination in Nikāya. These various dependent-origination teachings are also involved in the process of occurre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caused by the process of mental conditioning. As I understand of, if you relate suffering to the teaching of dependent-origination, the suffering is divided into suffering associated with rebirth and existential suffering. I agree that the approach to dependent-origination based on twofold causality spanning the three periods[三世兩 中因果] is the suffering of rebirth. However, considering the dependent-origination teachings of the various links, suffering is not only confined to the problem of rebirth but can be understood to be the problem of existential suffering. According to my comprehension, the ‘view’, ‘five aggregates’, ‘feeling’ and ‘thirst’ which are mentioned as suffering in Nikāya are existential suffering. The generation of a view as a cause of existential suffering is manifested in 8-links dependent-origination, and the occurrence of suffering due to obsession over 5 aggregates is manifested in 5-links dependent-origination, and the occurrence of suffering due to feelings is manifested in the 4-links dependent-origination, and the occurrence of suffering due to thirst is manifested by the 5-links dependent-origination. In this way, the dependent-origination identifies the occurre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caused by the process of mental conditioning. The teachings of dependent-origination on various links suggest a practical way to escape from existential suffering as well as suffering of rebirth.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연기와 십이지분의 불가분성
Ⅲ. 괴로움과 연기
Ⅳ.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정(Lee, Eun Jung). (2018).연기설을 둘러싼 쟁점에 관한 고찰 -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불교연구, 48 , 41-75

MLA

이은정(Lee, Eun Jung). "연기설을 둘러싼 쟁점에 관한 고찰 -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불교연구, 48.(2018): 4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