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三階敎의 普法普佛思想

이용수 80

영문명
Doctrine of Universal Law and Universal Buddha in San-Jie Jiao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박부자(Park, Bu Ja)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48輯, 203~23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삼계교는 중국 남북조시대 후기에서 수대에 걸쳐 활동한 신행선 사(540-591)에 의해 개창된 후 약 400년에 걸쳐서 종교 활동을 전개한 중국불교의 한 종파이다. 삼계교의 사상은 삼계의 근기에 대한 삼계 출세의 가르침이라고 하는 짜임새를 축으로 해서 성립하고 있다. 근기의 삼계란 제1계 일승보살과 제2계 삼승보살, 제3계 공견유견 중생을 말하는데, 제1계와 제2계는 각각 종래의 일승과 삼승의 가르침인 별법에 의해서도 출세 간에 이를 수 있다. 그러나 일천제인 제3계 중생은 종래의 일승과 삼승이라고 하는 교판적 짜임새로는 성불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삼계불법이란 이 제3계 중생이 출세할 수 있는 법을 설한 것이라 할수 있다. 이것은 제1계, 제2계의 별법과는 달리 普法에 의해야만 한다. 제3 계의 근기는 邪正의 판별 능력이 없는 것이 특징이므로 사정을 분별 하려 해도 압도적으로 다수인 邪 가운데에서 극히 소량의 正을 선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邪를 正으로 인식하는 실수를 범하게 된다. 이 실수를 회피하기 위해서 불·법·승·중생의 4항목에 대해서 ‘普’라는 시점을 도입하였다. 결국 보법, 즉 보진보정불법은 제3 계중생을 여래장, 불성불, 당래불, 불상불의 보법사불로서 철저히 공경한다는 것이다. 보진보정불법은 邪人이 배워도 正人이 배워도 널리 진정을 얻을 수 있으므로 제3계 인이 출세할 수 있는 불법이다.

영문 초록

San-Jie-Jiao is one of the sect of Buddhism in China that has carried religious activity about for 400 years after it was opened by the Xinxing Zen maser in the lat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ities. The idea of San-Jie is founded on the framework of the teachings of ‘Three levels of roots’. Among the three levels, the first and second level can reach to success by learning and practicing each different law. However, the people in third level can not attain Buddhahood as long as it was based on the existing religious structure of eka-yana or yana-traya. Therefore, the San-Jie doctrine express a way to achieve success for the people of third stage. This must be done not by Biefa, ‘exceptional law’, but by Pufa, ‘universal law’. As the root of the third group is characterized by the in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only a small number of true out of overwhelming majority of false. Ultimately, they make the mistake of recognizing virtue as vice. To avoid this mistake, the perspective of ‘Pu’ is introduced into ‘Buddha’, ‘Dharma’, ‘Sangha’, and People. In colclusion, ‘Pufa’ respect whole people for beings with Buddha nature or Buddha element. The authenticity of this lesson can be learned regardless of the good and the bad.

목차

Ⅰ. 서론
Ⅱ. 삼계의 분류와 제3계불법
1. 삼계의 분류와 구조
2. 제3계불법
Ⅲ. 삼계교의 불타관
1. 보법의 사불
2. 普眞普正佛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부자(Park, Bu Ja). (2018).三階敎의 普法普佛思想. 불교연구, 48 , 203-235

MLA

박부자(Park, Bu Ja). "三階敎의 普法普佛思想." 불교연구, 48.(2018): 203-2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