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라한의 해탈에 관한 고찰 * -심해탈과 혜해탈

이용수 199

영문명
A Study on Liberation Achieved by Arahant - focused on cetovimutti and paññāvimutti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한상희(Han, Sanghee)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53호, 163~19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빠알리 문헌상에서의 불교 수행의 목적은 더 이상 생을 받지 않고 윤회에서 벗어 나는 ‘해탈’의 성취이다. 이 해탈을 성취하기 위한 수행의 과정은 여러 성자의 모습에 의해 구현되는데, 그 궁극의 목적을 이룬 최고의 성자가 바로 아라한이다. 아라한은 심해탈과 혜해탈이라는 두 종류의 해탈을 성취함으로써 윤회의 종식이라는 최상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아라한이 획득하는 심해탈과 혜해탈의 의미와 그 내용을 밝히기 위해, 두 해탈이 니까야에서 사용된 용례를 중심으로 이 두 가지 술어가 가지는 의미와 두 해탈의 성취에 사용되는 수행법 및 관계 등에 대해 고찰 하였다.심해탈과 혜해탈은 술어의 유래에서 보듯이 하나의 해탈에 대한 ‘주체’와 ‘수단’ 을 의미하며 분리되었으나, 실제의 쓰임에서 반드시 그와 같은 의미를 지니는 것은 아니다. 심해탈의 경우 ‘흔들리지 않는 심해탈’로 표현될 때에만 ‘해탈의 주체’로서의 의미를 가질 뿐, 단독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경우 완전한 해탈의 주체로서 기능 하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니까야에 아라한으로서 ‘심해탈자’라는 표현은 일반적 이지 않다. 반면, 혜해탈은 언제나 심해탈을 수반하고 그 경우 항상 완전한 해탈을 의미하기 때문에, ‘혜해탈자’는 혜해탈 만이 아니라 심해탈과 혜해탈 모두를 성취한 아라한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심해탈과 혜해탈의 획득을 위한 수행법으로서 사마타와 위빳사나는 각각의 해탈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기능하며, 심해탈에는 사마타가 우세하게 작용하고 혜해탈에는 위빳사나가 우세하게 작용한다. 또한 심해탈은 ‘탐욕이 제거되어 마음이 자유로운 상태’이고 혜해탈은 ‘무지가 제거되고 궁극의 지혜가 갖추어진 상태’ 로, 번뇌의 소멸 순서에 따라 심해탈이 먼저 성취되고 이어서 성취되는 혜해탈에 이심해탈의 상태가 유지되어 포함된다. 이와 같이 두 해탈 모두를 갖춤으로써 완전한 해탈이 이루어지며, 둘 중 하나의 해탈만으로는 완전한 해탈을 얻을 수 없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Buddhist practice in the Pāli literature is to achieve liberation that escapes from the saṃsāra. The process of the practice for this liberation is embodied by various saints, Arahant who is the greatest saint achieves this ultimate goal through attaining the two kinds of liberation, cetovimutti and paññāvimutti. This paper scrutinized the meanings of these two technical terms, practice methods, and the relationships of them in order to clarify cetovimutti and paññāvimutti. As known from the derivation of these technical terms, cetovimutti and paññāvimutti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respectively meaning ‘agent’ and ‘means’ of a complete liberation. But in actual use, they do not necessarily have those meanings. In the case of cetovimutti, it has meaning as ‘agent of liberation’ when it is expressed as ‘akuppā cetovimutti’, but it does not function as the agent of complete liberation in most cases that it is used alone. For this reason, it is not common to say that ‘cetovimutta’ as Arahant. On the other hand, paññāvimutti is always accompanied with cetovimutti, and this means complete liberation. Therefore ‘paññāvimutta’ means Arahant who achieved both cetovimutti and paññāvimutti. As methods of achieving cetovimutti and paññāvimutti, samatha and vipassanā do not correspond to each separate liberation, but function together. In attaining cetovimutti, samatha acts predominantly and for paññāvimutti, vipassanā does like that. Cetovimutti is the state in which greed is removed and mind is freed, while paññāvimutti is the state in which ignorance is removed and ultimate wisdom i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estruction of defilements, cetovimutti is attained prior to paññāvimutti, and as paññāvimutti is attained along with cetovimutti, the complete liberation is accomplished.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아라한과 누진지
III. 심해탈과 혜해탈
V. 마치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상희(Han, Sanghee). (2017).아라한의 해탈에 관한 고찰 * -심해탈과 혜해탈. 불교학연구, 53 (53), 163-193

MLA

한상희(Han, Sanghee). "아라한의 해탈에 관한 고찰 * -심해탈과 혜해탈." 불교학연구, 53.53(2017): 163-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