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미학계의 中國 密敎 논쟁: 연구사적 조망

이용수 207

영문명
Recent Scholarship on Chinese Esoteric Buddhism in the West: The State of the Field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이승혜(Lee, Seunghye)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53호, 137~16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선무외, 금강지, 불공금강은 8세기 중국에 인도의 중기밀교를 전했고, 종파로서의 밀교를 개창했다. 중국의 밀교는 얼마 지나지 않아 소멸했으나, 구카이에 의해 일본으로 전해진 밀교는 진언종으로 체계화되어 독립적인 종파로 발전했다. 이상의 짤막한 중국 밀교사는 구미는 물론 동아시아 연구자들에게도 매우 익숙한 것이다. 2000년대 이후 구미의 불교학계를 달군 중국 밀교 논쟁은 바로 이 서사가 언제, 누구에 의해 형성된 것인 지에 대한 샤프(Robert H. Sharf)의 비판적인 고찰에서 시작됐다. 최근 20여 년간 구미 불교학계에서는 중국 밀교의 존재여부와 성격, 정의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발표됐다. 구미학계의 중국 밀교에 대한 주목할 만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국내학계에서는 이에 관한 관심을 찾아보기 힘들다. 근래 구미학계의 중국 밀교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작업은 국내의 중국 밀교 연구뿐 아니라,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전래된 밀교의 가르침과 실천체계가 한국 불교에 어떻게 수용되어 전개됐는지의 문제를 밝히는 데에도 중요하 다. 나아가 그간 관습적으로 밀교 혹은 밀교적 요소라고 지칭됐던 교학과 의례의 성격을 재검토하는 데도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근래 구미학계의 중국 밀교 논쟁을 연구사적으로 검토하려 한다. 구체적으로는 2000년대 이후 영문 으로 출판된 중국 밀교에 대한 논저 중 자주 인용되는 저술을 중심으로 각 연구자들이 1) 밀교라는 용어의 역사성과 학술적 효용성, 2) 현밀(顯密) 개념의 해석 및 순밀(純密)과 잡밀(雜密) 분류법의 유용성, 3) 밀교의 재정의와 재범주화라는 문제를 어떤 방식으로 접근했는지를 분석하겠다. 이 논문이 그간 국내학계에서도 관습적으로 받아들였던 중국 밀교 연구의 여러 전제들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dian Buddhist masters Śubhakarasiṃha, Vajrabodhi, and Amoghavajra came to Tang China in the eighth century to transmit Esoteric Buddhism and founded an “Esoteric” school. Although the “Esoteric” school soon vanished in China, Kūkai, who received their teachings from Huiguo, returned to Japan to establish Shingon, an Esoteric school that is highly systemized and has been thriving up to now. This rough historical narrative on Chinese Esoteric Buddhism is commonly shared within both Western and East Asian academia. However, recent debate on Chinese Esoteric Buddhism in the West began with Robert H. Sharf’s 2002 essay that raised questions on the issues of who constructed this narrative and when it was formulated. Sharf’s revisionist approach rekindled interest in Chinese Esoteric Buddhism, yielding new perspectives and historical interpretations of this important Buddhist tradition. Recent debate on Chinese Esoteric Buddhism in the West is yet to be discussed in Korean academia despite its scholarly significance. Examining the state of the field not only provides a valuable input to the Korean academia, but also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reception of Esoteric Buddhism that was transmitted from India via China. Furthermore, it is a necessary step to rethink the nature of teachings and practices that have been conventionally called Esoteric or Esoteric Buddhism in the Korean academia.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state of the field of Chinese Esoteric Buddhism in Western academia.My analysis centers on three major issues in the recent scholarship on the subject: 1) the deficiencies and utility of the term “Esoteric Buddhism,” 2) the notion of exoteric-esoteric and the validity of “pure” and “unsystematic” esoterism, and 3) redefinition and re-categorization of Esoteric Buddhism. I hope this essa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many presuppositions regarding Chinese Esoteric Buddhism we have unknowingly inherited from the past scholarship.

목차

I. 중국 밀교의 오래된 서사
II. ‘밀교’와 ‘밀’의 개념에 대한 문제제기
III. 수정주의적 시각에 대한 반론
IV. 밀교의 재정의와 재범주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혜(Lee, Seunghye). (2017).구미학계의 中國 密敎 논쟁: 연구사적 조망. 불교학연구, 53 (53), 137-162

MLA

이승혜(Lee, Seunghye). "구미학계의 中國 密敎 논쟁: 연구사적 조망." 불교학연구, 53.53(2017): 137-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