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浄影寺慧遠における縁起と如来蔵

이용수 57

영문명
The Dependent Arising ( 緣起 ) and the Tathāgatagarbha ( 如來藏 ) of Jingying Huiyuan ( 浄影寺 慧遠 )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岡本一平(Okamoto Ippei)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53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정영사(浄影寺) 혜원(慧遠, 523~592)의 연기와 여래장의 관계성에 관해 고찰하는 것이다. 고찰 대상은 ≷유마의기(維摩義記)≸의 육종인연설(①事相因縁, ② 虚仮因縁, ③妄相因縁, ④妄想因縁, ⑤真用因縁, ⑥真体因縁)이다. 육종인연설은 「이제의 (二諦義)」 → ≷열반의기(涅槃義記)≸ → 「십이인연의(十二因縁義)」→ ≷유마의기≸의 순서 로, 단계적으로 형성된 연기로 추정된다. 혜원은 진심(무위법)과 망심(유위법)이라는 두 종류의 법(dharma)이 화합함으로써 제법이 생기한다고 생각했다. 즉, 혜원은 진망론(真妄論)으로서, 무위법과 유위법의 화함을 인정한 것이 된다. 이는 세친(世親)이 ≷구사론≸에서 비판한 학설과 유사하다. 또한 혜원은 이 화합을 해설하는 논리로서, 체용론(體用論)을 채용했다. 이것은 중국의 고유 사상으로 불교를 이해하는 것이다. 그 이유의 하나는, 혜원이 ≷십지경(十地經)≸의 ‘일심 (一心)’을 ‘알라야 = 진심 = 무위법’으로 해석한 까닭에 무위법이 ‘삼계’나 ‘십이인연’을 생기시키는 이론을 필요로 하게 된 것이다. 요시즈 요시히데(吉津宜英)는 혜원의 사상적 특징을 진망론과 체용론 Theory of Substanceand Function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논자는 육종인연설’을 고찰함으로써 그러한 생각을 대체적으로 추인하게 된 셈이다. 요시즈가 지적하지 않았던 점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혜원은 ‘삼종연집설(三種 緣集說)’을 중시하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그 이유는 ‘삼종연집설’은 식론(識論)과는 결부 되지 않는 학설이기 때문이다. 또한 지론종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懍의 ≷법경론(法 鏡論)≸은 연기무애(緣起無礙)라는 말을 통해 연기를 무애와 동일시하고, 체와 용의 구별도 형식적인 것으로 하였다. 이 사상은 화엄종과도 공통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an intention of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thāgatagarbha ( 如來藏 ) and the dependent arising ( 緣起 ) of Jingying Huiyuan ( 浄 影寺 慧遠 , 523~592). The object of consideration is the theory of six kinds of cause and condition on the Weimo-yiji ( 維摩義記 , the commentary on Vimalakīrtinirdeśa-sūtra): ① phenomenon ( 事相因縁 ), ② nominal ( 虚仮因縁 ), ③ deceptive marks ( 妄相因縁 ), ④ delusive conceptualization ( 妄想因縁 ), ⑤ real function ( 真用因 縁 ), ⑥ real essence ( 真体因縁 ). This theory is estimated that it was developed stage by stage: the Erdi-yi ( 二諦義 , the treatise on the two truths)」 → the Niepan-yiji ( 涅槃 義記 , the commentary on Nirvana-sutra) → the shi’er yinyuan-yi ( 十二因縁義 . the treatise on the twelve causal links) → the Weimo-yiji ( 維摩義記 ). Huiyuan thought that all dharmas arise from the combination with two kinds of dharmas: the mind of thuseness ( 無爲法 , the unconditioned dharma) and the mind of false ( 有爲法 , the conditioned dharma). In other words, Huiyuan asserted the theory of truth and falsity ( 真妄論 ), and acknowledged the union of unconditioned dharma and conditioned dharma. It is similar to the theory which Vasubandhu ( 世親 ) criticized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 俱舍論 ). Huiyuan also adopted the theory of essence-function ( 體用論 ) as the logic that explains this combination. This is to understand what the indigenous idea of China did. Furthermore, Huiyuan needed the theory that the unconditioned dharma generates the three realms or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arising because he read ‘one mind( 一心 )’ of the Shidi-jing ( 十地經 , Daśabhūmika-sūtra) as ‘ālaya = mind of thuseness = unconditioned dharma’. Yoshihide Yoshizu ( 吉津宜英 ) understood that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 of Huiyuan is the theory of truth and falsity and the theory of essence-function, but the writer ratifies his understanding in principle through studying the theory of six kinds of cause and condition. Yoshizu didn’t point out the following. Huiyuan is meant to be pay little regard for ‘the theory of three kinds of dependent arising ( 三種緣集說 )’ because it doesn t tie in with the consciousness theory ( 識論 ). In addition, the dependent arising ( 緣起 ) and the unobstructed ( 無 礙 ) are identified through the word ‘yuanqi-wuai ( 緣起無礙 )’ in Fajinglun ( 法鏡 論 ) by Lin ( 懍 ), belonging to the Dilun school, and the essence is distinguished from the function formally. This is regarded as the same thought with Huayan zong.

목차

I. 問題の所在
II. 六種因縁説と真妄論 (日本語訳と解説)
III. 六種因縁説と体用論
IV. 縁起と無礙
V.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岡本一平(Okamoto Ippei). (2017).浄影寺慧遠における縁起と如来蔵. 불교학연구, 53 (53), 1-25

MLA

岡本一平(Okamoto Ippei). "浄影寺慧遠における縁起と如来蔵." 불교학연구, 53.53(2017):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