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 10년 평가와 과제

이용수 398

영문명
Ten Years of Family-Friendly Community Establishment Policies: Evaluation and Issues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김소영(Soyoung Kim) 선보영(Boyoung Sun) 전미영(Miyoung Jeon) 남지민(Jimin Nam)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8 연구보고서 (기본), 1~128쪽, 전체 1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18,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이 연구는 가족변화의 측면에서 그동안 여성가족부가 추진해 온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을 되돌아보고, 정책의 재구성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음 □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배경에서 수행되었음 ○ 첫째,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한국의 가족을 고려할 때 가족구성의 선택을 지원하는 측면에서 가족친화적 사회환경 조성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됨. 가족미래를 전망한 국내외 연구(장혜경 외, 2014; EU, 2011:39)에서도 가족을 둘러싼 환경 조성의 중요성은 지적된 바 있음 ○ 둘째, 지역사회는 개인과 가족이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삶의 질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핵심적인 장으로, 가족변화의 양상이 점차 뚜렷해지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가족친화적인 지역 환경 조성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투자가 요구됨. 가족친화 사회환경의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 (이하 가족친화법 )에도 지역사회 내에 가족친화 관련 인프라 등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고, 참여 가능한 공간을 조성해야 할 정부의 책무를 명시하고 있음(법 제3조, 제13조). 그럼에도 정책 시행 10년여 동안 가족친화 지역사회(마을환경) 조성 정책의 추진은 미진했음 ○ 정책 시행 초기와 달리 현재는 3회에 걸쳐 시행된 가족친화 마을 만들기 시범사업과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실태조사의 결과, 국내 유사 정책의 성장으로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직·간접적으로 확인할 정책현장이 존재하므로 정책 시행 10년이 된 지금, 가족친화의 개념과 추진체계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하고, 향후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작업은 의미 있을 것으로 보임 2. 연구 내용과 방법 □ 첫째, 가족정책의 맥락에서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과 관련된 주요 법·제도를 검토하고, 변화하는 가족의 현실과 욕구에 비추어 주요 정책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정책의 의의와 한계,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음 ○ 이를 위해 가족친화 관련 선행연구,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관련 법령자료, 정책지침, 관련 기본계획 등 행정자료,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실태조사 측정지표를 검토하였음 □ 둘째,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정책을 재구성하기 위해 가족변화의 모습과 의미를 재조명하였음. ○ 이를 위해 가족 트렌드 분석과 가족변화의 추동집단인 2040세대와의 연속 집담회를 병행하였음 - 가족 트렌드는 가족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환경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트렌드 현상 중 최근 가족과 관련해 중요하게 부상하는 개념만을 발췌한 후 유사한 가치를 공유하는 개념을 분류하는 단계를 거쳐 도출하였음 - 2040세대 집담회는 가족구성과 삶의 양식의 다양성을 반영해 8인의 참가자로 구성하였고, 가족의 현재 모습과 관계, 참가자들이 바라는 모습의 가족을 주제로 2회에 걸쳐 논의하였음. 결과에 대한 분석은 매회 집담회를 마친 후 연구진이 발견한 주요 결과를 작성하고, 그 의미에 대한 해석을 논의했으며, 참가자들과 공유해 재확인하였음 □ 셋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정책의 재구성 방향을 논의하고, 그에 맞춰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정책 과제를 제안하였음 ○ 이 과정에서 가족친화 관련 연구자, 서울시의 공유 공간(스페이스 살림, 무중력지대) 운영자와 연구자, 희망제작소 지역정책팀 관계자 등을 만났음. 그들은 사업이나 연구의 기획과 운영 과정, 해결 과제와 현재의 고민을 연구진에게 공유해주었으며, 자신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의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해주었음 ○ 가치를 공간에 구현하면서 민간 주도로 운영되는 공공 공간인 서울시 무중력지대(대방), 서울혁신파크, 서울시 언더스탠드에비뉴 등의 사례는 연구진이 직접 방문해 관찰하였음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asses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family-friendly community establishment policies from the changing perspectives of families, review the concept and elements of family-friendly communities and thereby discuss how to reorganize such policies. The key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policies were identified by reviewing family-friendly community establishment policies-related laws and systems and looking into key policies in terms of the realities and needs of families. Korea’s family-friendly community establishment policies have contributed to creating a family-friendly society and culture. In the process, a variety of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such as the Family Friendliness Act, the basic plan for the promotion of healthy families, and a survey of the established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have been set up, expanding related infrastructure. However, in spite of such policy achievements, many more issues need to be examined to craft appropriate and effective policies that can flexibly react to changes in the family environment. The biggest limitation of current policies is that they very narrowly define families and family-friendly communities in the context of policy targets and spheres. As a result, current policies for the creation of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have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a family-friendly workplace environment for double-income families and the introduction and facilitation of a diversity of related systems. On the other hand,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environment where various families live, such policies have been limited to the declaratory discussions on the importance of communities and the introduction of related cases, failing to sufficiently deal with the role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creating communities that can reflect the various needs of families, as well as specific policy measures relating thereto. Families and their members are hardly deemed to be single groups or to have unified needs. Diversity existing in and out of families is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in the future. In this vein, existing policies whose focus has been put on specific types of families and their situations should be reviewed and revised, considering the following fundamental questions: ‘how should families be examined?’ and ‘what is a family-friendly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new policies based on family diversity need to fairly assign necessary infrastructure and policy means to enable diverse family and individual needs to be satisfied in a balanced way, rather than to support specific types of families or to set a universal type of family as a key target group. Second, analyzing family trends, conferences with 20-to-40-somethings, a key group that brings about family changes, were held to reorganize a fami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in terms of family changes and to shed new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thereof. In the context of trends, how families have changed was studied and via consecutive conferences with 20-to-40-somethings, a main group that causes family changes, the meaning and realities of families were examined from their perspectives.

목차

Ⅰ. 서론
Ⅱ.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 현황과 한계
Ⅲ. 가족친화 사회환경 재구성을 위한 가족변화의 모습과 의미 조명
Ⅳ. 결론: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 평가와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영(Soyoung Kim),선보영(Boyoung Sun),전미영(Miyoung Jeon),남지민(Jimin Nam). (2018).‘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 10년 평가와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8 (53), 1-128

MLA

김소영(Soyoung Kim),선보영(Boyoung Sun),전미영(Miyoung Jeon),남지민(Jimin Nam).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 10년 평가와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8.53(2018): 1-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