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혼가족 부부의재산상 평등권 제고 방안

이용수 212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송효진(Hyo Jean Song) 김은지(EunJi Kim) 배인구(InGu Bae) 김연재(Yeon-Jae Kim)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8 연구보고서 (기본), 1~168쪽, 전체 16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22,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Ⅰ. 연구개요 1. 연구 목적 □ 한국 사회는 혼인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인구 고령화 및 수명 증가에 따른 사별·이혼 후 재혼이 늘어나면서 재혼가족이 증가하고 있음. ○ 재혼가족에 있어서 부부의 재산을 둘러싼 문제와 갈등은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지만, 현행 부부재산 및 상속 관련 법제도는 이러한 변화하는 사회 현상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 ○ 사실혼 관계인 경우 부부간 돌봄과 부양의 의무를 부담하면서도 배우자 사망의 경우 법적으로 사실혼 배우자는 재산상속권이 인정되지 않아, 의무는 있으나 권리는 없는 양태가 나타남. 특히 황혼재혼에 있어 잔존한 고령의 사실혼 배우자(특히 여성 노인)의 경우 생계와 주거 등 경제적으로 취약한 상황에 놓일 우려가 높음. ○ 법률혼 부부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속을 둘러싸고 공동상속인인 재혼배우자와 전혼자녀 간의 분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더욱 어려운 고민과 과제를 던져주고 있음. □ 이에 본 연구는 성평등한 가족 관점에서 재혼가족에 있어 부부의 재산을 둘러싼 법적 이슈와 문제들을 검토·분석하고, 변화하는 가족가치 및 고령사회에 대응하여 재혼가족에 있어서 부부의 재산상 평등을 제고할 수 있는 법제 정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함. 2. 연구방법 □ 문헌연구 ○ 재혼가족 부부의 현황과 재산상 이슈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외 문헌과 선행 연구, 관련 기사, 통계자료 등 문헌·자료를 조사·검토하고 관련 판례 및 법제를 분석하였음. □ 법률상담사례 분석 ○ 재혼가족 부부의 재산과 관련하여 당사자들이 겪고 있는 고충 및 법적 이슈와 문제를 파악하고자 한국가정법률상담소에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간 접수된 상담사례 중 재혼가족이 부부 재산문제로 상담해온 경우만을 별도로 추출하여 총 86건을 조사·분석하였음. □ 전문가 집담회 ○ 재혼 트렌드와 재혼부부의 재산 관련 이슈 및 법적 문제를 파악하고자결혼(재혼)정보회사의 재혼 전문가, 학계와 법조 실무 전문가 등과 함께 전문가 집담회를 총 3회 개최하여 현장에서 접한 재혼 희망자들의 고민과 재산상 이슈, 법적 문제 및 개선방향 등에 관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었음. □ 전문가 자문 ○ 연구과정에서 재혼가족 부부의 재산 관련 국내외 법제도 및 관련 문제 그리고 개선 방향에 대하여 서면 자문 및 자문회의 등을 통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연구에 반영하였음. Ⅱ. 재혼가족 부부재산 이슈 1. 재혼가족 재산 관련 법률상담사례 분석 □ 법률상담사례 조사 개요 ○ 재혼가족 부부의 재산과 관련하여 당사자들이 겪고 있는 고충 및 법적 이슈와 문제를 파악하고자 한국가정법률상담소에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간 접수된 상담사례 중 재혼가족이 부부 재산문제로 비교적 자세하게 상담해온 질적 분석이 가능한 사례만을 별도로 추출하여 총 86건을 조사·분석하였음. ○ 총 86건의 사례 중 내담자가 재혼부부 당사자인 사례가 51건, 재혼 부부의 자녀(전혼자녀 및 재혼자녀)인 사례는 33건, 재혼부부의 부모가 내담자인 사례는 2건이었음. ○ 분석 대상 사례 중 내담자가 재혼부부 당사자인 사례 51건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가 15건(29.4%)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14건(27.5%), 70대 10건(19.6%)로 50대 이상이 많은 분포를 보였음. 80대도 3건이며, 내담자가 재혼 당사자의 자녀인 경우가 33건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고령층의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전체 분석대상 상담사례 86건 중 상담 사유를 유형별로 보면, ‘재혼 배우자 간 재산 문제’가 20건, ‘재혼부부와 자녀(계부모·친부모와 전혼자녀·재혼자녀)를 둘러싼 재산문제’에 관한 상담이 62건, ‘기타 관계 간 재산문제’는 4건이었음. ○ 전체 분석대상 상담사례 86건 중 재혼부부가 법률혼 관계인 경우는 63건, 사실혼 관계인 경우는 23건으로 나타남.

영문 초록

he values concerning marriage and family are changing in Korean society. These changes that are interlocked with such social phenomena as aging population, increased life expectancy, and increase in remarriage after bereavement and divorce are resulting in the increasing number of stepfamilies. Of those who choose to remarry, not a few enter into de facto marriages, evading the report of marriage for fear of causing such family problems as the conflict with children over property issues. However, the current legislation concerning the property of a couple and inheritance is not properly responding to such changes. This is demonstrated not only in family conflicts but also as gender inequality against women who are relatively in vulnerable situations in family dynamics in terms of property issues, which are also caused by conditions in the legislative system left unadjusted and uncoordinated.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reviewed and analyzed legal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property of couples of stepfamilie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Furthermore, in response to changing family values and an aging societ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suggest measures for legislative rearrangement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gender equality between couples of stepfamilies. To identify legal issues and problems in the property of couples of stepfamilies, review and analysis of the cases applied for legal counseling concerning the property of stepfamilies to the Korea Legal Aid Center for Family in 2015 and 2016 were made in cooperation with the Center. With a view to grasp the trends in remarriage, the issues and tendencies concerning the property of remarried couples, and legal problems thereof, a conference was held inviting the staff members of matchmaking companies who specialize in remarriages, and relevant professionals in academic and legal circles. The results of viewing the issues concerning the property of couples through the prism of remarried couples revealed the following problems. Irrationalities in the existing matrimonial property system became more distinctively apparent. Private autonomy was guaranteed only as a formality. When the operating mechanism based mainly on ‘legal’ system was applied to the phenomena of diverse changes in family, some areas were found where it caused inconveniences to diverse types of families, including stepfamilies. Besides, for spouses who are vulnerable, particularly from a gender perspective, with relatively weaker pensionable rights, which are representative component of safety net, the problem is complexly linked to current conditions, where the provision of livelihood entailing the changes in family status, including conjugal relations, relies not on the public system but excessively on private relations, including property division, etc. To find solutions for such problems, direction for improvement was sought in the following three stages. First, the system concerning matrimonial property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gender equality between a coupl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lear legislative guidelines on matrimonial property relations that reflect the changes in family and society such as the increase in divorce and remarriage. Second, as a suggestion for coping with such diverse changes as increase in remarriage, the direction should be set in which a practical level of private autonomy in matrimonial property relations is guaranteed while setting the limits in unfairness found from a gender perspective at the same time. Last, through strengthening of individual pensionable rights that are not affected by changes in marital relations, the vulnerability resulting from the gender-dependent design should be overcome, particularly by the public support system, and thereby a relevant social safety net be reinforced. In line with such direction, improvement measure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extent of peculiar property, includi

목차

Ⅰ. 서 론
Ⅱ. 재혼가족 부부재산 이슈
Ⅲ. 재혼가족 부부재산 관련 법적 문제와 현황
Ⅳ. 결론: 개선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효진(Hyo Jean Song),김은지(EunJi Kim),배인구(InGu Bae),김연재(Yeon-Jae Kim). (2018).재혼가족 부부의재산상 평등권 제고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8 (53), 1-168

MLA

송효진(Hyo Jean Song),김은지(EunJi Kim),배인구(InGu Bae),김연재(Yeon-Jae Kim). "재혼가족 부부의재산상 평등권 제고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8.53(2018): 1-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