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족계층에 따른 청년자녀세대의 성인기 이행 및 정책대응 방안 연구

이용수 1385

영문명
Study on Transition into Adulthood by Family Class : Focusing on Policy Implications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김영란(Kim, Young-ran) 장혜경(Chang, Hye-kyung) 이윤석(Lee, Yun-suk)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8 연구보고서 (기본), 1~216쪽, 전체 2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28,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 연구 개요 가. 연구 배경 및 목적 한국사회에서 청년은 학업-취업-결혼으로 이어지는 생애과정 동안 각각 학자금, 실업, 결혼비용 등의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이철선?김문길 외 2016: 14; 이철선?김영란 외 2016: 31에서 재인용). 이러한 청년세대의 문제에 대해 김지경 외(2015: 3)는 성인기로의 진입이 유예되고 있다고 표현하고 있다. 즉 부모에게 의존했던 아동에서 독립된 한사람으로서 성장하기 위한 준비기이자 과도기(장휘숙, 2010: 4, 김지경 외, 2015: 3에서 재인용)로 설명되는 청소년기를 지나면 독립된 성인으로 넘어가게 되는데 성인기로의 이행과정이 이루어지는 청소년기가 길어지면서 성인기 이행 지체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에 청소년기 연령을 지난 20대 후반이나 30대 초반까지도 독립적인 성인으로서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거나 불충분하게 갖춘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현재까지 청년세대의 성공적인 성인기 이행을 위한 비용과 투자는 대부분 부모세대와 가족의 부담이었다. 부모나 가족의 계층지위에 따라 자녀세대에 대한 경제적 지원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부모와 가족이 일차적으로 책임져왔다(예를 들어 대학 등록금, 취업 시까지 생활비, 결혼 비용 지원 등). 그러나 노년기의 장기화, 경제적 여건 등의 문제로 인하여 부모세대 또한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더욱이 계층 양극화의 심화에 따라 부모세대와 가족이 청년자녀세대의 미래에 대한 투자를 감당할 수 없게 될 가능성 또한 높아지고 있어 이에 대비한 정책적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청년자녀세대와 부모세대간의 경제적 자원 이동 실태를 파악하고 가족계층에 따라 청년자녀세대에 대한 경제적 지원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년자녀세대의 성인기 이행 단계별로 부모의 경제적 지원 실태 및 부모의 경제적 지위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고 정책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청년자녀세대와 부모세대간의 상호 경제적 지원 실태를 분석하고, 둘째, 가족계층에 따라 청년자녀세대에 대한 경제적 지원의 차이를 파악하는데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실태 파악에 기반하여 청년자녀세대에 대한 부모의 경제적 지원 차이, 즉 가족 계층 배경에 따라 청년세대들이 경험하게 되는 불평등 문제를 보정하기 위한 정책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연구 내용 및 방법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기 이행에 대하여 관련 선행연구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청년자녀세대와 부모세대의 경제적 자원 이전관련 연구 동향을 정리하고 세대 간 경제적 지위 이전에 대한 선행연구도 검토하였다. 둘째, 경제적으로 부모에게 의존하는 25세에서 34세 연령의 청년 규모를 파악하고 추이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소득이 없는 청년자녀가 있는 가구와 소득이 있는 청년자녀를 가진 가구의 경제적 상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청년과 부모의 세대 간 경제적 지원(intergenerational transfers) 관계를 살펴보았다. 성인이행기를 경험하고 있는 청년과 이들의 부모들 간 경제적 지원 이전을 분석하였다. 결혼을 하지 않은 19세부터 39세 성인자녀와 비동거하는 부모 간에 경제적 자원 교환 실태 및 경제적 자원 교환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데이터는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하였다. 넷째, 성인기 이행 시기별 부모의 경제적 지원 규모와 부모의 경제적 지위별 차이를 알아보았다. 청년자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업 시기, 취업 시기, 결혼 시기에 부모로부터 받은 경제적 지원의 규모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 부모특성별 경제적 지원 규모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섯째, 가족 계층에 따른 성인기 이행 시기별 경제적 지윈 규모의 차이에 따른 불평등을 해소하고, 성인기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대응 방안을 발굴하였다.

영문 초록

Young adults in Korean society have recently faced many difficulties, including school expenses, unemployment, and wedding costs during their life transition that proceeds from education to employment and marriage. Although they should become independent adults when they move on from their youth, a growing number of young adults could not meet or insufficiently met the requirements for being independent adults even in the second half of their 20s and in the first half of their 30s. Young adult children’s delay in financial independence means their parents need to provide a prolonged period of financi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and must take on the added burden of support for children by the parent generation. In this context,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of parents’ financial support for their young adult children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family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ize of financially dependent young adults between ages 25 and 34 has continually increased. In other words, the trends in the proportion of young adults between ages 25 and 34 who were financially dependent on their parents to all national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show that the proportion rose from 25.3% in 2002 to 30.0% in 2015 for those aged between 25 and 29 and from 9.0% in 2002 to 12.8% in 2015 for those aged between 30 and 34. Next, using the data from the KLIPS(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the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generational transfers of financial support between young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 gener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mong the characteristics, gender, age, personal income and parents’ household incom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rgenerational transfers. In other words, sons received more financial support from parents than daughters did, and as the children become older and have more income, they received less support. However, the higher the parents’ household income,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Als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parents’ financial support for children by the phase of transition to adulthood, including the period of schooling, employment, and marriage, parents provided financial support for each period. When examined by period, the proportion of “receiving support” was higher as parents had more assets and higher economic status when their children were 20 years old. During the period of employment, the fathers’ educational levels, the parents’ assets, and the parents’ economic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factors influenced wedding costs for men and women: only the parents’ assets were significant for men, while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s and economic status were significant for women. It was also found that only the parents’ asse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costs for men’s preparation of housing for marriage, while the parents’ income and current economic statu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sts for women’s preparation of housing for marriag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청년과 부모의 세대 간 경제적 지원에 대한 노동패널 분석
Ⅳ. 부모세대의 청년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 실태조사 분석
Ⅴ. 정책방향 및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란(Kim, Young-ran),장혜경(Chang, Hye-kyung),이윤석(Lee, Yun-suk). (2018).가족계층에 따른 청년자녀세대의 성인기 이행 및 정책대응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8 (53), 1-216

MLA

김영란(Kim, Young-ran),장혜경(Chang, Hye-kyung),이윤석(Lee, Yun-suk). "가족계층에 따른 청년자녀세대의 성인기 이행 및 정책대응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8.53(2018): 1-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